“OECD 평균 대비 식료품가격, 1990년 1.2배→2023년 1.6배 확대”
“식료품가격 상승, 농산물가격 상승 기인…낮은 생산성·개방도·비효율 유통구조”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18일 ‘BoK 이슈노트 - 우리나라 물가수준의 특징과 시사점’을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 식료품과 의류·신발 가격은 OECD평균 대비 각각 약 1.6배, 1.5배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주거비는 약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료품의 경우 OECD 평균 수준이 1990년 1.2배 수준에서 확대된 것이다.
연구진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올해 5월, 2.7%)로 둔화했지만 물가 가격 수준이 높아진 점을 주목했다. 2020년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물가 누적상승률은 근원물가 10.6%, 소비자물가 13.7%로 각각 집계됐다. 체감물가를 반영한 생활물가의 누적 상승률은 16.4%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식료품과 의류 가격 수준이 높은 원인으로 낮은 개방도, 고비용 유통구조 등을 꼽았다.
식료품을 구성하는 항목인 과일·채소·축산물·가공식품의 가격 수준은 OECD 평균과 비교했을 때 1.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품목별로는 사과, 돼지고기, 감자의 가격은 2배 이상 높았다.
임웅지 물가동향팀 차장은 “미국 등 주요 농업수출국과의 지리적 원거리 등으로 유통기간이 짧은 신선식품의 수입이 어려운 데다 운송비용도 높아 수입을 통한 과일·채소 공급비중이 미국, 유로지역 등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의류판매 비중이 큰 백화점의 판매수수료율이 여타 상품군 및 유통 채널에 비해 높다”며 “판매방식도 중간유통을 줄일 수 있는 직매입(생산자로부터 직접 구매) 비중이 3%대로 주요국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주택임대료(서울지역 월세 기준), 소득대비 집값 비율(PIR) 등 주거비용도 주요국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PIR(25.1)는 싱가포르(18.2), 파리(17.8), 런던(14.8), 도쿄(14.4), 뉴욕(14) 등 주요 도시보다 월등히 높았다.
연구진은 식료품, 의류 가격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생산성 제고, 공급 채널 다양화 등 구조적 측면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물가상승률이 높은 것은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물가 수준이 높은 현상이 지속되는 것은 통화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개선 과제로 변동성 높은 농산물의 공급 채널 다양화, 유통구조 효율화 및 유통채널 다양화를 꼽았다.
연구진은 “식료품·의류가격이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아진다고 가정할 경우 가계의 평균 소비 여력은 평균적으로 약 7% 정도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며 “특히 해당 품목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의 소비 여력은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