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대신경제연구소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주식시장 상장기업의 53%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맞춰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공시할 계획인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가치 제고계획 작성, 공시 시기는 전체 응답자의 17.8%가 3분기를 선택했다. 하반기부터 밸류업 공시 기업수가 본격적으로 늘며 밸류업이 다시 화두가 될 것이라는 전망의 근거이기도 하다.
KB증권은 밸류업 관련 하반기 중 가장 중요한 시기로 7월 하순과 12월 하순을 꼽는다. 7월 하순에는 정부의 세제개편과 상법개정안이 발표될 예정이다. 여당과 야당의 의견이 일치되는 부분이 있을지가 관전포인트다. 12월 하순에는 세제개편안에 대한 국회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정부안과 달리 수정될 수 있어 최종적으로 가장 중요한 내용이 될 수 있다.
하인환·김지우 KB증권 연구원은 “상반기의 밸류업 프로그램은 행정부가 주도했다면, 하반기에는 입법부로 그 주도권이 넘어갈 예정”이라고 분석했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비관론에도 밸류업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들이 코스피 성과를 크게 상회하는 성과를 기록 중”이라며 “기획재정부의 세법 개정안 발표 후 예산안과 개정안이 통과될 것으로 예상되는 11~12월쯤 밸류업 모멘텀이 강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내다봤다.
증시 전문가들은 밸류업 관련주들을 중장기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정빈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일본 사례를 참고했을 때 지수 출시 직후 밸류업 주가 모멘텀이 단기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주주환원율, 총주주수익률(TSR) 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어 밸류업은 중장기적으로 유망하다”고 밝혔다. 이어 “하반기 배당시즌에도 밸류업 모멘텀이 지속될 것이다. 배당절차 개선에 따라 배당주 및 가치주 모멘텀이 다음해 슈퍼주총 위크 이전까지 지속되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김재은 NH투자증권 연구원도 “(밸류업 기업들의 공시) 내용 면에서 기존 IR 자료와 큰 차이점을 찾기 힘들 수 있지만, 목표로 정량적인 수치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특히, 중소형주의 경우 이러한 공시를 통해 회사의 비전, 전략, 재무 성과 등을 시장에 투명하게 전달한다면 더 많은 투자자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