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엔저 韓 기업에 치명적…금융ㆍ산업 대응책 수립해야”

입력 2024-07-02 14: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엔화 가치, 경제 정상화로 회복 전망
엔저 장기화 시 韓 기업 실적 악화
“연구ㆍ개발 등 수출 지원 노력 요구”

▲츠토무 와타나베 도쿄대 교수가 2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추락하는 엔화, 전망과 대응’ 세미나에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경제인협회)

최근 엔화 약세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국내 수출 기업들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편 일본 경제 전문가는 일본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하고, 국가부채를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며 과도한 엔저 현상이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추락하는 엔화, 전망과 대응’ 세미나를 개최하고 국내 경제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엔저 현상은 한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엔화 동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며 “양국 수출 경합도가 과거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고는 하지만, 일본은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과 경쟁이 가장 치열한 국가이므로 엔저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한 금융ㆍ산업 대응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일본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 출신인 츠토무 와타나베 도쿄대 교수는 ‘엔화 약세 원인 및 전망’을 주제로 기조 발제를 진행했다. 츠토무 교수는 “엔화 가치 하락은 일본의 경직적인 물가와 임금, 일본과 미국의 상이한 통화정책(日 완화 vs 美 긴축)으로 인한 결과”라며 “일본의 물가와 임금수준은 20년 이상 동결된 것처럼 고착됐고,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기업들은 원가 상승분을 가격에 전가하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됐다”고 했다.

이어 “2022년 봄부터 물가와 임금의 정상화가 시작됐으며, 올해 초까지 견조한 흐름을 보였기 때문에 일본은행은 올해 3월 기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에서 벗어나 기준금리를 플러스 수준으로 인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츠토무 교수는 “일본은행에서 물가와 임금이 꾸준히 상승할 것이라는 확신이 생길 때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하고, 국가부채를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며 “이러할 경우 현재의 과도한 엔저 현상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상근부회장이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경제인협회)

패널로 참가한 정영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금융실장과 변정규 미즈호은행 서울지점 자금실 그룹장은 △아베노믹스 시기 과감한 양적 완화에 따른 과도한 채무 △기준금리 인상 시 채무에 대한 이자 부담 능력에 대한 의문 △미국의 대폭적 금리 인하가 없을 시 미ㆍ일간 금리 차 등을 이유로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과 엔화가치 회복의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실장은 “엔저 현상의 원인은 미ㆍ일 금리 차에서도 발생하나, 과거 일본의 양적 완화 정책으로 인한 영향이 더 크다”며 “일본의 경상수지가 흑자를 보이나, 외화(달러) 유입이 동반되지 않는 소득수지 위주여서 엔화 안정은 완만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변 미즈호은행 그룹장은 “일본은 국가부채 이자 증가 부담을 우려해 기준금리 인상을 섣불리 할 수 없는 재정적 리스크가 존재한다”며 “일본 국채 금리는 일본은행의 국채 매입액 감액 등의 영향으로 상승 기조에 있으나, 미ㆍ일 금리 차 감안 시 엔화가 달러 대비 강세 국면을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준 와세다대 국제학술원 교수는 ‘엔화 약세와 한국경제 영향과 대응’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최근 한국, 일본 및 중국 기업 간 경쟁이 격화되면서 세 나라 통화가 동조 현상을 보인다”며 “일본 기업은 상품 단가를 엔화 가치가 절하된 폭만큼 낮추지 않고 있어 영업이익이 극대화되는 중인데 만약 원화가 엔화를 따라 절하되지 않는다면, 우리 기업들의 영업이익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