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출산율 2.1명 회복해도 생산가능인구 감소 불가피”

입력 2024-07-0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3591만 명→ 2040년 2910만 명
2025년 대비 약 81% 수준으로 감소
산업현장 부족인력 해결 위한 이민정책 전환 시급
저숙련‧비정주→숙련기술인력‧정주 중심

▲5월 1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가 시민들과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대한상공회의소가 “오랜 기간 지속된 저출생 현상으로 내년 합계출산율이 2.1명을 회복해도 2040년까지의 생산인구감소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7일 대한상의는 보고서 ‘독일·일본 이민정책으로 본 한국 이민정책 시사점 연구’를 통해 “산업현장의 인력부족 대비해 외국인력정책에서 획기적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처럼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도 합계출산율이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2.1명을 회복하더라도 생산가능인구는 2025년 3591만 명→2040년 2910만 명으로 약 81%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가 목표한 2030년 합계출산율 1.0명을 회복하더라도 총인구는 2025년 5175만 명에서 2070년 3771만 명으로 72.9% 수준으로 감소하고, 생산가능인구는 2025년 3591만 명에서 2070년 1791만 명으로 49.9%로 급격하게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한상공회의소)

보고서는 인구변화 충격에 여성·장년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지만, 이민정책은 숙련기술인력·정주 중심으로의 획기적 변화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미 저출생 고령화를 경험한 독일과 일본의 이민정책에 대한 접근방식 차이가 인구구조에 상반된 효과를 준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은 2000년대 초반부터 저출산ㆍ고령화로 인한 심각한 노동력 부족이 현실화되면서 ‘거주허가 및 정주법’(이민법)을 제정해 정주형 이민정책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전문인력인정법(2012년), 기술이민법(2020년) 등 지속적인 숙련기술인력·정주 중심의 이민정책을 펼쳐 인구 충격의 속도를 늦췄고 생산인구 반등 효과를 거뒀다.

대표적인 독일 이민정책으로는 △취업비자 발급 대상 확대(대졸자→직업교육수료자·전문경력자 등) △비유럽연합(EU) 출신 미숙련기술인력 문호 개방(직업교육 제공 등) △독일사회 정착유도(독일어·시민교육 실시, 실업수당 제공 등) 등이다.

독일의 적극적인 이민정책의 결과는 인구구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실제 독일 연방정부 통계에 따르면 자국민 중 18세~65세 비율은 61.2%인 반면, 이주민의 경우 비율이 83.6%에 달해 사회 전체를 젊게 만들고 있다.

반면, 일본은 생산인구 감소에 고용연장, 여성노동력, 비정규직 등 국내 노동인구 활용을 중심으로 대응해 왔고 산업연수생(기능실습제), 유학생을 중심으로 외국인력을 도입해왔다. 그러나 산업현장의 인력 부족을 해결하지 못하고 2010년 8000만 명을 넘었던 일본의 생산가능인구는 지속해서 감소했다.

결국 비숙련 외국인력을 도입하는 ‘기능실습제도’만으로 부족한 산업 인력을 메우지 못하자 일본은 2019년에 개호(간호‧돌봄), 농업, 건설, 조선업 등에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게 ‘특정기능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올해 6월 14일 ‘출입국관리법․난민인정법’을 개정해 30년 간 유지해온 ‘기능실습제’를 폐지하고 새로운 외국인력 확보를 위한 ‘육성취업지원제’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보고서는 저출산ㆍ고령화로 외국인력 유치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한국도 보다 적극적인 이민정책이 필요하다며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우수한 산업인재를 적극 유치할 수 있도록 독일‧EU처럼 숙련기술인력에 대해 취업비자를 발급하는 K-블루카드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EU 블루카드는 대졸자 이상의 학위를 가지고 있거나 일정 수준의 직업훈련과정을 수료한 숙련기술인력에 대해 발급하는 취업비자로 EU 회원국 내에서 자유롭게 취업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민근로자와 동반가족들이 우리사회에 통합‧융화될 수 있도록 이주민 정주지원제도가 필요하다.

(대한상공회의소)

아울러 이주자에 대한 국민 인식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 미국 퓨 리서치센터의 ‘2021년도 이주 배경자 인식조사’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은 다른 대표적 이민 국가에 비해 이주 배경자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주형 이민정책을 시행한 독일은 국민의 71%가 이주민이 사회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