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상반기 순매수 22조9000억 원 역대 최대
주요 상장 기업들의 주주환원 확대 정책이 늘고 있다. 시장에서는‘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저평가)’해소를 위해서는 기업이 성장에 적극 투자하고, 정부는 기업·시장의 자유를 보장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유가증권시장에서 공시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 등의 내용을 담은 ‘수시공시의무관련사항(공정공시)’은 62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45건) 대비 37.8%(17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설명회(IR) 개최 공시도 작년 상반기 대비 11% 늘었다.
기업들이 ‘기업 밸류업(가업가치 제고) 프로그램’ 활성화 뛰어들자 외국인 투자도 늘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 상반기 국내증시에서 22조9000억 원을 순매수했다. 이는 통계 집계(1998년) 이후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수준이다. 올해 초부터 시작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기업들의 호실적이 외국인 매수세를 이끌었다.
그러나 ‘코리아 디스카운트’해소까지 갈 길은 험하고, 멀다. 대주주 중심으로 짜여진 기업 지배구조 개편 작업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맥킨지는 증여·상속 시 세금을 덜 내려고 주가를 눌러두는 대주들의 경향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아시아기업지배구조협회(ACGA)가 2020년 실시한 기업 지배 구조 평가에서 한국은 12국 중 9위에 머물렀다.
해외 투자은행(IB)들은 글로벌 스탠다드 강화와 규제 완화를 주문한다. 외국계 IB 한 임원은 “투자와 생산성을 늘리고, 기업·시장의 자유를 보장하는 친시장·친투자적 정책과 규제 완화가 한국 경제 성장 정책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기업의 밸류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역동경제 로드맵’도 최근 발표했다. 법인세, 배당소득세, 상속세 등 ‘3종 세제헤택’을 파격적으로 내걸었다. 증권가에서는 밸류업 관련 정책, 그리고 이와 연관된 기업의 주주환원 정책 등이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평가한다.
다만, 여소야대 정국에서 정부가 공언한 정책이 모두 반영되기 어렵다는 점은 한계로 꼽힌다.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로 주목받은 상장 공기업들의 밸류업 참여가 저조하다는 점도 과제다. 이들 기업의 마중물 역할을 기대하는 시장의 목소리도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