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기가 단기적으로 내수회복 모멘텀이 강해지기 쉽지 않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과거에 비해 수출경기의 낙수효과가 제한적이며, 주요국보다 무형자산 투자사이클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등 강한 회복을 제한할 여지가 크다는 설명이다.
13일 iM증권은 "국내 경기가 내우외환에 직면한 모습으로 글로벌 경기에 갑자기 어두운 먹구름이 드리워진 가운데 내수 환경이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국내 내수 부진의 원인은 복합적으로 봤다. 중장기관점에서 고령화 추세, 산업전환 과도기 현상과 더불어 직간접인 차이나 리스크 악영향 등을 들 수 있지만, 단기적인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설비투자 부진 등에 따른 고용시장 냉각, 고물가-고금리 현상 장기화에 따른 자영업자 등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경기 악화 등을 꼽을 수 있다. 여기에 부동산 PF 등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 역시 내수 부진에 한몫을 하고 있다는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국내 증시와 글로벌 증시 간 차별,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간 차별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배경에도 업종 간 수출차별화와 더불어 내수 경기 부진을 큰 요인으로 지적했다. 2분기 GDP 성장률의 역성장 원인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부진에서 기인한다는 점도 내수부진을 드러내고 있다.
고용시장 회복을 위해서는 ‘수출경기 호조 → 설비투자 확대 → 고용 창출’과 같은 선순환이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건설 경기 부진 장기화 가능성이 설비투자를 포함한 투자사이클의 강한 회복을 제한할 여지가 크기며, 길어지고 있는 고금리 부담에 따른 이자 등 금융비용 상승은 내수경기 회복을 제한하는 또 다른 요인이다.
박 연구원은 "한은이 글로벌 금리인하 사이클에 동참할 가능성은 크지만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가격 급등 현상이 금리인하 시점 지연 및 공격적 금리인하의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도 내수 경기회복에 또 다른 걸림돌이 될 전망"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다행히 물가 하락 등으로 소비심리가 회복되고 있고 수출 경기의 경착륙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점 등이 내수경기의 하방 경직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라며 "덜컹거리는 내수 흐름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