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부위원장, 지표금리 개혁 위한 3단계 KOFR 확산계획 제시...“선택 아닌 실천의 문제”

입력 2024-08-28 14: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국내 무위험지표금리(KOFR)’ 확산을 위한 3단계 계획을 제시하면서 금융권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28일 김 부위원장은 한국은행과 자본시장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국내 KOFR 활성화를 위한 주요과제 및 향후 추진방향’ 정책 컨퍼런스에 참석해 KOFR 확산을 위한 3단계 계획을 제시했다.

KOFR 확산 3단계 계획은 △기술적 기반 조성 △금융위·금감원·한은 주도의 기간별 KOFR 활용 목표치 제시 등을 통한 KOFR 점유율 확대 △CD(양도성예금증서)금리 중요지표 해제 등을 통한 지표금리 개혁 마무리 등이다.

우선 부위원장은 KOFR 금리 확산은 선택이 아닌 조속히 결과를 만들어야 하는 실천의 문제라면서 국내 금융시장의 지표금리 역할을 하는 CD수익률은 전 세계적인 개혁 대상인 리보금리와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실거래가가 아닌 호가에 기반해 산출될 뿐만 아니라 은행의 신용 위험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2020년 중요지표법 제정 이후 CD수익률을 대체할 수 있도록 국채·통안채 익일물 RP 금리를 기반으로 하는 KOFR를 새로운 지표금리로 산정한 바 있다. 이후 코로나 위기 등으로 지표금리 개혁은 지연된 상태다.

KOFR 활용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려면 금융회사의 내부 프로세스 정비, 청산·평가 등을 위한 각종 인프라 정비, 세부적인 규제 조정이나 법령 해석 등이 필요하다. 이에 민·관 합동 워킹그룹이 구성된 만큼 KOFR 확산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요인들을 식별하고 이를 해소하는 작업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KOFR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신규 거래의 일정 비율에 대해선 KOFR를 활용하도록 목표를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자율 스와프 시장부터 목표를 제시할 가능성도 있다. KOFR 이자율 스와프나 변동금리 채권시장 초기 형성을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도 살펴본다.

김 부위원장은 “이제 시장 여건이 안정화됐고 금융위와 한은이 여러 전문가들과 함께 KOFR 확산 전략에 대해 많은 논의를 해왔기 때문에 구체적인 실천을 위한 준비가 됐다”며 “금융권도 KOFR 전환이 미래 이야기가 아닌 현재 당면과제라는 점을 꼭 기억하고 관련 논의에 적극 참여해달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