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성공 위해선 산·학·연·병·정 유기적 공조 필요”

입력 2024-08-28 17: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엄승인 제약바이오협회 전무 “‘렉라자’, 유기적 공조로 FDA 허가 가능했다”

▲28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글로벌 바이오 산학연병정의 유기적 공조 생태계 방안’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노상우 기자 nswreal@)

바이오산업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선 산업체와 학계, 연구계와 정부의 유기적 협력이 필수로 요구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글로벌 바이오 산학연병정의 유기적 공조 생태계 방안’ 토론회에서 송철화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 회장은 “과학기술 주권이야말로 국가의 생존과 인류 전체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라며 “정부에서 최근 첨단바이오를 3대 게임체인저 분야로 선정하기도 했다. 글로벌 협력 연구 촉진 등으로 국가 바이오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유한양행의 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받았다. 엄승인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무이사는 “바이오 산학연병정의 유기적 공조가 있었기에 렉라자가 FDA로부터 허가를 받을 수 있었다”면서 “바이오텍과 대기업의 결합뿐만 아니라 유기적인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또한 정부의 자금 제공, 병원에서의 임상 지원과 함께 연구소와 학계 등에서 연구 협력을 받아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엄 이사는 “신약 1개를 상용화하는 데 드는 비용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학계와 산업계 간 오픈이노베이션으로 위험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산학연병정의 공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자금 지원·세제 혜택 등의 지원을 주고, 협력을 강화할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피터 강(Peter Kang) 하버드 의대 순환기내과 교수는 코로나19를 통해 한국이 바이오산업의 가능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한국은 코로나19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했다. 접촉자를 추적하는 방식과 진단 키트 개발 등으로 한국 바이오산업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교수는 “한국이 차기 바이오 허브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우수한 학교도 많고 혁신적인 사람도 많다. 한국 정부도 R&D의 중요성을 높게 보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비중이 미국, 중국 등의 2배에 달하는 4.35%다”라면서 “다만 보스턴 등 이미 바이오허브로 발전한 곳을 그대로 베껴선 안 된다. 한국에 맞는 바이오허브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행사를 주최한 안철수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의사 과학자 출신으로 한국이 정보기술(IT)은 세계에서 알아줄 정도로 발달하는데 바이오기술(BT)은 수준을 왜 쫓아가지 못할까에 대해 의문이 많았다. IT는 다양한 분야의 담당자가 열심히 협업하는데 BT는 기술을 개발한 과학자가 모든 것을 결정하려는 경향이 컸다. 또한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규제 환경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국가 연구비 감사제도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업의 경우 성공확률이 낮아도 투자를 많이 한다. 하지만 국가 연구는 성공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만들 수 있는 것, 성공이 예상되는 것만 도전해 성공률이 99%에 달한다”고 했다.

이어 안 의원은 “미국 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10%의 성공률에도 도전해 인터넷과 GPS 등 혁신적인 것을 발굴했다. 지금부터라도 결과 위주의 감사가 아닌 과정 위주의 감사를 통해 연구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로 협력하지 않으면 절대로 바이오산업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제약·바이오산업 분야에서 활약해 온 최수진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아직 투자 여건이 좋지 못하고 규모가 큰 바이오 기업도 얼마 없지만 삼성바이오나 셀트리온 등의 기업을 통해 K바이오라는 브랜드를 만드는 시대가 됐다”면서 “바이오산업에서 흑자로 돌아선 게 얼마 되지 않았다. 다학제적 학문이 모여 시너지를 창출해야 한다. 국회에서 산학연병정이 모두 힘을 합쳐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12월 부처별 칸막이를 없애고 민간의 혁신적·창의적 의견이 논의될 수 있도록 하는 민관합동 컨트롤 타워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출범시켰다.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정부와 민간이 유기적으로 공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