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 중심의 경제구조가 기업 밸류업(가치 제고) 프로그램 성공 공식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국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은 자체 밸류업을 끌어 올리는가 하면 투자자들을 증시로 유(U)턴할 수 있게 다양한 프로그램과 상품 공급에 나서고 있다. 기업금융 확대 등 자본 중심의 경제구조 만들기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의 밸류업 작업은 기초체력을 다지고 시장 활성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미래에셋·NH투자·한국투자·삼성·KB·대신·IBK투자·하나증권은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특히 주주환원에 앞장서는 모습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올해부터 2026년까지 주주환원율을 조정 당기순이익의 최소 35% 이상 유지하고 보통주 1500만 주 이상을 소각하겠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당기순이익에서 현금배당과 법정적립금을 차감한 재원의 50% 내 자사주를 매입·소각할 계획이다. 키움증권은 주주환원율 30% 이상,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이상, 자기자본이익률(ROE) 15% 이상 달성 등을 목표로 내세웠다.
차별화된 서비스·상품으로 투자자의 선택권도 확대하고 있다. KB증권은 ‘Again BUY KOREA’ 캠페인을 통해 저평가된 가치주와 배당주에 대한 투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투자자 니즈를 반영한 금융상품을 잇달아 선보이며 자산관리 서비스를 강화했다.
IBK투자증권은 탄소금융·녹색금융 등 ESG 금융을 확대하고 있다. 책임투자 활성화를 위해 ESG 채권 거래를 늘린 게 그 일환이다.
국내 증권사들은 자본 중심의 경제 구조 만들기에도 뛰어들 방침이다.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금융투자업계가)기업금융 업무를 확대해 기업에 실질적 지원을 하는 한편, 투자은행(IB)사업에서 경쟁력 있는 분야를 발굴하고 사업을 다각화해 시장을 키워나가겠다”면서 “금융당국의 제도적 지원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자산운용사들은 수탁자 책임 이행을 위해 기반을 닦는 것은 물론, 증시 활황 유도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활동 등 밸류업의 한 방편에서도 힘쓰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18년 도입한 스튜어드십 코드(의결권 행사 지침)와 전담 조직인 ‘스튜어드십 본부’를 중심으로 밸류업 활동을 준비하고 있다. KB자산운용은 다음 달 발해인프라펀드를 10월 상장해 일반투자자에게 배당 투자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6월 ‘한국투자지배구조주주환원펀드’를 상장하며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유도했다. 다른 자산운용사들도 9월 밸류업 지수 발표를 고려해 관련 ETF 출시를 준비하는 등 밸류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김효숙기자 손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