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의 초고령사회 진입 국가인 일본에서 은퇴가 사라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인용해 일본 65~74세 남성 절반 이상(51.8%)이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31.4%), 캐나다(26.7%), 영국(21.0%), 독일(17.9%), 이탈리아(12.9%), 프랑스(8.3%) 등 다른 주요 선진국보다 월등히 높다.
일본 70~74세 남성으로 모집단을 좁히면 지난해 노동참여율은 43.3%다. OECD 평균(17.3%)을 2배 이상 웃돈다. 70대 근로 시대를 맞은 셈이다. 하루아침에 일어난 변화는 아니다. 정부의 촘촘한 고용 연장 정책이 효험을 냈다. 일본은 2000년 고령자고용안정법을 개정해 65세 고용 유지 정책을 추진했다.
법정 정년을 획일적으로 늘리기보다 고령자들이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힘쓴 점이 중요하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정년 연장’, ‘정년 폐지’, ‘계속고용(재고용)’ 등 선택지를 부여했다. 보조금을 지급하는 당근책도 썼다. 2021년부터 다채로운 유도책을 더하고 있다. 세 가지 선택지에 더해 ‘프리랜서 계약’, ‘사회공헌사업 종사’ 형태를 신설했다.
한가하게 구경만 할 계제가 아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빨리 나이를 먹는 국가다. 일본은 1970년 고령화사회에 접어든 후 고령사회가 되기까지 24년이 걸렸다. 한국은 18년이다. 초고령사회 이행 속도는 더하다. 통계청 추계대로 내년 65세 이상이 총인구의 20% 이상이 되면 일본(11년)보다 4년 빠르게 초고령사회로 탈바꿈한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는 이미 1000만 명을 넘어섰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35년에는 노인 인구가 30%를 넘어서고 2050년에는 40%에 진입하는 등 고령화가 빨라진다. 노동 공급 감소에 따른 생산성 약화, 경제성장률 하락은 피할 수 없다. 지난해 기준 0.72명인 합계출산율도 세계 최저 수준이다.
범국가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노동 수명 연장이 급선무다. 국내에도 일하는 고령자는 많지만, 일본처럼 양질의 일자리에 남아 있는 근로자는 극소수다. 획기적 개선책이 필요하다. OECD는 ‘2024 한국경제보고서’에서 “노인 고용을 늘리면 국내총생산(GDP)과 재정 성과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했다. 2차 베이비부머(1964∼1974년생) 세대가 올해부터 차례로 은퇴하면서 우리 경제성장률을 약 0.4%포인트(p)까지 끌어내릴 수 있다는 한국은행의 경고도 있다.
그러나 일본 방식을 베끼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가능하지도 않다. 기업들이 고령자를 꺼리는 이유를 직시하고 거기서부터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국내외 연구기관과 학계가 이구동성으로 지적하는 것은 고용 경직성이다. 연공서열 문화도 걸림돌이다. 그렇다면 이 부분에 메스를 대야 한다. 오늘로 취임 한 달째를 맞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권기섭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노사정 4인 대표자 회의 정례화’ 구상을 밝혔다고 한다. 각계를 대표하는 이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용 유연화의 길을 찾아낸다면 큰 박수가 나올 것이다. 국가를 살리는 길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