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속연수·관리자 비율 등 따지면 여성 불평등 여전"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가 표면적으로는 줄어들고 있지만 근속연수나 관리자 비율 등을 따져보면,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와 여성금융인네트워크 주최로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여성 금융인 국제 콘퍼런스'에 참석한 패널토론자들은 임금 격차를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련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세지표를 발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토론에는 최운열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이 좌장을 맡고, 박기숙 한국여성건설인협회 회장,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 이주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장문선 기획재정부 공공정책국 공공혁신심의관이 패널로 참석했다.
박주근 대표는 성 평등 지표의 착시효과를 지적했다. 그는 "금융권 여성 고용률은 54.7%로, 500대 기업 평균 고용률(26.4%)보다 두 배 이상 높고 여성 임원 비중은 2021년 4.5%에서 지난해 9.3%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면서도 "등기임원 중 여성 비율은 0.7%로 매우 낮고 대부분 사외이사로 채워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금융권의 여성 근속연수가 남성과 비슷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연봉은 여전히 낮다"며 "은행에서는 근속연수 차이가 2019년 3.9년에서 지난해 1.2년으로 좁혀졌지만, 여성의 연봉은 남성의 70% 수준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현상은 증권사나 보험사, 카드사에서도 나타났다.
여성 고용 및 임원 비중 증가가 눈에 띄지만, 실질적인 권력 구조 개선이나 임금 격차 해소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박 대표는 "중간관리자의 성별 비율 데이터도 공개할 필요가 있다"며 "중간관리자 남녀 비율의 공개가 조직의 성 평등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주희 교수도 "우리나라의 성별 임금 격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라며 "격차가 5% 미만인 나라인 경우는 단체 교섭이 활발하고 국가가 직접 사회서비스 분야에 여성을 고용해 많은 임금을 주다 보니 저임금 섹터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교육 수준별로 보면 우리나라 대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비율이 너무 낮고, 저임금·저학력·저기술인 50대 여성의 노동 참여가 크다 보니 격차가 있다"면서 "금융권, 증권사에선 무기계약직 여성이 많기 때문에 승진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고도 했다.
이 교수는 "중간 관리자 비율이 OECD 국가 중 뒤에서 2등으로, 그마저도 특정 직군에 몰려 있다"면서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와 관련된 상세 지표 발굴에 힘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 지표로는 △성별직종 분리 지표 △경력단절 여성의 비율 추이(연령별로 세분화) △성별 노동시간 격차 △성별 비정규직 비율 △주요 고임금 산업에서의 승진 격차 지표 △성별 노동조합 가입률 등을 제시했다.
박기숙 회장은 건설업계의 현황을 설명했다. 그는 "내가 1500명 직원 중 유일한 여성 임원일 정도로, 건설업계는 여성 진출이 매우 적다"며 "한국건설기술인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100만 건설인 중 여성은 10만 명도 되지 않으며 전문 자격증을 가진 여성은 더욱 적다"고 전제했다.
특히 건설 분야뿐만 아니라 파트너로 만나는 금융 분야에서도 여성의 부재가 눈에 띈다고 언급했다. 박 회장은 "종합건설엔지니어링 회사에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업무를 많이 수행했으나, 이 과정에서 여성 파트너를 만난 적이 거의 없다"며 "우리가 같이 노력해야 건강한 PF, 세밀한 프로젝트 일어날 것"이라고 피력했다.
장문선 공공혁신심의관은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성별 임금 격차는 남성의 평균 임금이 7849만 원, 여성의 평균 임금이 6074만 원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주로 성별 간 근속연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남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14.1년 여성은 10.0년"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기관 신규 채용 시 여성 비율이 49~51%로 높아지고 있는 만큼 성별 임금 격차는 점차 줄어들고, 공공기관의 여성 임원도 더 증가할 것"이라면서 "이처럼 공공기관은 민간 부문에서 성별 임금 격차 해소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