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PF 사업성 재평가로 관련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24조3000억 원으로 저축은행 사태 당시 10조5000억 원보다 많았다.
다만 비은행 연체율은 저축은행 사태 당시보다 낮았다. 6월 말 기준 업권별로 0.5~8.4%로 집계됐다. 2011년 9월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29.1%까지 치솟았다.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재평가 결과, 유의(C), 부실우려(D) 사업장에 대한 익스포저는 21조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PF 익스포저의 9.7% 수준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회사들이 연체, 연체유예, 만기연장 3회 이상 등 부실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1차 사업성 재평가 결과 평가대상의 약 60%가 유의(7조4000억 원) 또는 부실우려(13조5000억 원)로 분류됐다.
한은은 “다만 사업성이 낮은 대부분의 사업장이 1차 평가 대상에 포함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평가(올해 완료 예정) 과정에서 늘어날 부실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1차 사업성 평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182조8000억 원중 C, D등급 여신은 2조3000억 원(금감원, 기존 평가기준 적용)으로 추산됐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금리인하 기대가 확산하는 가운데 금리하락에 기대어 구조조정을 유예·지연하려는 행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금융기관의 정리계획 이행을 철저히 점검하는 가운데 미흡한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이행을 독려할 필요가 있겠다”며 “은행·비은행간 건전성 규제 차이에 따른 규제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관기관간 긴밀하게 협조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