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삼성 DS 실적 앞지를 듯
'반도체 겨울론' 무색…AI 호황 이어갈 듯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3분기 실적에서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전히 인공지능(AI)발 시장 수요가 견조한 만큼 장기적으로 우상향을 나타낼 것이란 전망이 많다.
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3분기 삼성전자 매출액, 영업이익 추정치(컨센서스)는 각각 81조4495억 원, 11조2313억 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 영업이익 10조4400억 원과 비교하면 약 8% 증가한 수치다.
다만 증권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3분기 영업이익은 직전 분기 6조4500억 원보다 1조 원 가량 줄어든 5조 원대 중반으로 전망했다.
무엇보다 고객사들의 수요 약세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파운드리 사업 역시 회복이 더디다는 평가다. 아울러 올해 PS(성과급) 약 1조5000억 원 등 일회성 비용도 늘었다.
이수림 DS투자증권 연구원은 “8월 이후 스마트폰, PC 고객사들의 재고 축적 수요가 감소하면서 단기적 D램 가격 정체기가 도래했다”며 “중국의 엔드 수요가 살아나면 다시 업사이클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나, 경쟁사 대비 레거시 D램 비중이 높은 만큼 실적 부진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스템 LSI와 파운드리 역시 3분기 가동률이 하락하면서 다시 적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여전히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경쟁사 대비 뒤처진다는 점도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혔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메모리 업황의 상승 사이클에서 수요의 견인차가 AI였던 점을 감안하면, HBM의 실적 기여가 주가의 열위를 결정지었다고 판단한다”며 “동종업체 대비 실적을 차별화하려면 HBM의 경쟁력 입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실리콘관통전극(TSV)으로 연결한 메모리다. 기존 D램 대비 데이터 용량이 크게 늘고, 처리 속도도 빨라 AI 시대 필수 메모리로 꼽힌다.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은 AI 시장 큰손인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를 납품하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여전히 퀄(품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액 18조793억 원, 영업이익 6조8456억 원을 각각 기록할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기준 직전 분기 5조4685억 원과 비교하면 25% 늘어난 것이다. 전망대로라면 반도체 호황기였던 2018년 3분기(6조5000억 원) 이후 최대 실적이며, 1분기에 이어 삼성전자 DS 부문 실적을 다시 한번 앞지를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HBM 등 AI 반도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점이 실적 개선에 영향을 줬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HBM과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내에서도 SK하이닉스는 하이엔드 제품군을 거의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다”며 “하이엔드 위주의 제품 믹스로 상반기 대비 느려진 메모리 시장 환경에서 이익과 주가 방어에 가장 유리하다”고 말했다.
다만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AI 열풍이 거세면서 일각에서 우려하는 이른바 ‘반도체 겨울론’은 일단락된 모양새다. 이에 국내 기업들 역시 장기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마이크론이 발표한 2024 회계연도 4분기(6~8월) 매출은 77억5000만 달러로, 월스트리트 전망치인 76억6000만 달러를 웃도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HBM 수요와 더불어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수요 강세로 낸드 매출액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HBM의 경우 올해와 내년 생산 예정 제품이 모두 매진됐다고 밝혔다.
최근 모건스탠리가 반도체 사이클이 고점을 찍고, 본격적으로 내리막길을 걸을 것이라고 관측했는데, 이러한 우려를 완전히 불식시킨 셈이다.
고영민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마이크론의 실적은) AI 수요 방향성 재확인과 더불어 PC·모바일 관련 우려가 일부 해소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