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미만 퇴직' 4명 중 1명 "보수 등 여건 불만족"
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이상 구직 활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8월 기준 실업자 56만4000명 중 구직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사람은 11만3000명(20.0%)으로 집계됐다. 이는 1999년 8월(20.1%) 이후 25년 만의 최고치다.
반년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10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증가세를 이어가며 10만 명을 상회했지만, 이후 엔데믹에 접어들며 감소세로 돌아섰다. 10만 명을 밑돌던 장기 실업자는 올해 3월부터 가파르게 늘었다. 2월 기준 장기 실업자는 7만7000명(전년동월대비 -19.7%)이었는데 3월(8만8000명·15.1%) 들어 6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7월까지 두 자릿수 증가율이다. 장기 실업자 비중은 2월(8.4%)에서 8월까지 2배 이상 늘었다.
이러한 비중 확대는 전체 실업자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장기 실업자가 늘어난 결과다. 실업자 수는 7월(73만7000명·전년동월대비 -8.7%)과 8월(-1.6%) 등 2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질적 측면에서 구직자의 눈높이를 충족하는 일자리가 마땅치 않다는 것이 장기 실업자 증가의 한 배경으로 지적된다. 노동시장 이중구조 심화 등으로 임금·복지 등 보다 근로조건이 좋은 일자리를 찾다보니 장기 구직 수순을 밟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구직자의 학력이나 숙련도, 근로 능력에 비해 일자리의 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불가피하게 장기 실업에 놓인 상태가 될 수 있다"며 "근로능력이 취약해 갈 만한 일자리 자체가 별로 없는 중·노년층도 이에 해당한다"고 했다.
이어 "특히 노동시장 상층보다 하층의 일자리 질이 턱없이 안 좋다 보니 많은 구직자가 기대에 미치는 일자리를 찾기 위해 장기 취업 활동에 나서는 노동시장 상황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실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8월 기준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 4명 중 1명이 퇴직 사유로 '시간·보수 등의 작업여건 불만족'(24.7%)을 꼽았다. 이는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26.4%)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상대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낮은 처우의 일자리를 전전해서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취업 의사가 있음에도 갈 만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단순 취업 지원보다는 하위 분단 일자리 구조 상향 평준화 등 질적 공급에 정책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