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혈액, 내시경 검사 종합해 확진…“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중요”
설사와 복통이 생기면 식중독이나 위염을 의심하기 쉽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며 지속 기간도 길어지면 반드시 병원에서 구체적인 검사와 진료를 받아야 한다. 소화관에 염증이 생기는 희귀질환 ‘크론병’은 완치가 어렵고, 증상을 방치하면 암으로 악화할 위험도 크기 때문이다.
크론병은 만성 염증성장질환으로 입에서부터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항문까지 음식물이 지나가는 소화관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이다. 병명은 1932년 이 병을 처음 발견한 미국의 의사 ‘버나드 크론(Bernard Crohn)’ 박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크론병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유전적인 소인이 있고, 특정한 환경적 인자가 자극되면 몸에서는 자연스러운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면역 반응이 생길 때 면역계의 교란이 발생하면서 크론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환경적인 인자로 미세먼지, 서구화된 식습관 등이 꼽히지만 이마저도 정확한 원인은 아니다.
오랫동안 크론병은 서양의 질병이라는 인식이 굳어져 있었다. 국내에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장질환이 최초로 등장한 시기는 1990년대이며, 이후 크론병 환자들이 계속해서 증가해, 현재 국내에는 약 2만5000여 명 정도의 환자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 번 발병하면 완치가 어려워서 유병률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크론병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수는 3만3238명으로, 2019년 2만4133명에 비해 약 27% 증가했다.
암이나 만성질환 등은 대부분 나이가 많아질 수록 환자 수가 많아지는데, 크론병은 10대 청소년부터 20대 청년층 환자가 적지 않다.
학계에서는 인스턴트 음식, 고지방 식품 등 서구화된 식습관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본다. 10~20대가 학업과 사회 진출로 높은 스트레스에 노출된다는 특성도 발병과 관련된 요인으로 지목된다. 청소년기에 크론병이 생기면 음식을 잘 먹더라도 장에 염증이 있어 성장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잦은 복통과 설사로 단체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크론병 증상은 과민성대장증후군과 혼동하기 쉽다. 잦은 복통과 설사 등 주요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크론병은 소화관 바깥의 다른 범위에서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눈에 이상이 생기거나, 피부 발진 또는 관절통이 동반되는 등의 장관 외 증상이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환자의 병력 청취와 내시경 및 조직 검사가 필요하다. 내시경으로 보기 어려운 소장에 대해서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MRI)과 같은 영상 검사를 해야 한다. 크론병을 특정한 한 가지 검사 결과만으로 진단할 수는 없으며 임상 소견, 혈액 검사, 내시경 소견, 영상 검사 등을 모두 종합해야 확진할 수 있다.
진단 이후에는 다양한 내과적 치료가 시작된다. 비교적 증상이 심하지 않은 환자는 염증에 효과가 있는 항염증제를 먼저 사용한다. 급성 악화기에는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며, 면역조절제는 스테로이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스테로이드를 중단했을 때 유지 약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생물학적제제가 널리 사용되면서 환자들의 증상이 급성으로 악화하는 사례가 감소하는 추세다. 다만 협착이나 천공, 혹은 암이 생긴다면 외과적인 수술이 불가피하다.
차재명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크론병은 발병하면 완치가 어려운 병이므로 환자들에게는 평생 동고동락하는 대상이며, 전문의는 환자와 평생 진료를 이어가게 된다”라며 “어떤 병이든 오래 지속되면 지치기 마련인데, 포기하지 않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건강을 관리하고 치료한다면 여러 가지 합병증은 물론 불필요한 치료도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차 교수는 “몸에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면, 지체하지 말고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무엇보다 적당한 운동과 스트레스 관리는 만병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한 습관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