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협, 산림조합 상호금융 건전성 ‘경고등’…적자 조합 속출

입력 2024-10-06 08: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9일 서울 강남구 새마을금고중앙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상호금융권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농협 등 단위조합 대출 400조 육박
대출잔액, 3년 6개월 만에 43조 원 급증
연체금 15조8000억 원

농·수협 단위조합, 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의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대출 연체율이 최고 37%나 치솟았고 적자에 허덕이는 조합도 속출하는 추세다. 지역 단위조합 차원에서 조합원 간 자금을 융통하는 상호금융의 부실화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수협중앙회, 산림조합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3개 기관 단위조합의 대출잔액은 391조449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말 대비 42조7221억 원 증가한 규모다.

단위조합 대출잔액은 2021년 348조7269억 원, 2022년 377조2050억 원, 지난해 387조4476억 원 등으로 매년 증가세다. 지난 6월 기준으로는 400조 원에 육박했다.

대출 부실 위험이 높아진 올해 들어서도 6개월간 4조 원이 증가했다.

기관별로 보면 농협 단위조합이 348조5498억 원(89.0%)으로 대부분이었고 수협 단위조합이 34조1603억 원, 산림조합은 8조7389억 원이다.

2021년과 비교하면 농협은 36조5952억 원 증가했고 수협과 산림조합은 각각 4조3004억 원, 1조8265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치솟고 있다. 농협 단위조합 연체율은 2021년 0.88%에서 올해 6월 3.81%로 3년 6개월 새 4.3배로 뛰었다. 이는 국내은행 평균 연체율(0.42%)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지난 3월 취임식에서 상호금융을 제1금융권 수준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으나 시중은행과 연체율 격차는 더 벌어졌고 대출은 더 늘었다.

농협 단위조합의 최고 연체율은 37.61%에 달했다. 같은 기간 수협 단위조합 연체율은 1.64%에서 6.08%로, 산림조합 단위조합은 1.50%에서 5.63%로 각각 높아졌다.

3개 기관에서 연체율이 10% 이상인 단위조합 수는 모두 100곳에 달했다. 농협 72곳, 산림조합 19곳, 수협 9곳이었다. 대출잔액 중 연체금은 15조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단위조합의 재무 상황도 우려되는 수준이다. 작년 말 기준 산림조합은 140곳 중 64곳(45.7%)이 적자였다. 수협은 24.4%에 해당하는 22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농협의 적자 조합은 19곳(1.7%)이었다.

윤 의원은 “이미 부실 수준이 심각한 조합뿐 아니라 잠재적 우려가 있는 조합까지 전수 조사해, 정부 차원에서 더욱 철저하게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실채권도 심각한 상태다.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농협 상호금융의 대출 고정이하여신(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채권) 규모는 지난 6월 말 기준 14조7078억 원(채무자 기준 집계)이다. 이는 작년 12월 10조7265억 원에서 6개월 만에 약 4조 원이 불어난 수치다.

수협 상호금융의 경우 고정이하여신은 지난 6월 말 2조448억 원으로, 6개월 만에 6114억 원 늘었다.

임 의원은 “농·어업인과 소상공인 등의 채권을 부실채권 투자 전문기관에 매각하면 추심 고통을 가중하고 재기 기회를 박탈할 수 있는 만큼 채무 조정과 채무 부담 경감 정책 확대를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