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남권에서 동북권을 연결하는 약 68㎞, 37만 평 규모의 '제2의 연트럴파크'가 탄생한다. 지상철도 전 구간 지하화를 통해 선로 부지를 대규모 녹지공원으로 조성하고, 역사 부지는 업무시설,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 복합 개발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서울 시내 지상철도 전체 구간에 대한 지하화 구상안인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계획'을 발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이달 25일 국토교통부에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지로 제안할 계획이다.
서울 시내 철도 지상 구간은 6개 노선, 약 71.6㎞로 15개 자치구를 통과하고 있다. 서울역, 영등포역 등 주요 역사가 위치한 지역은 서울 대표 중심지로 성장해왔지만, 현재는 소음·진동 등 공해 유발로 인한 삶의 질 저하는 물론 중심지와 생활권 단절, 주변 지역 노후화와 지역 균형 발전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상철도 지하화 실현을 위해 민선 8기 서울시장 공약을 비롯해 지난해 2월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도 도시발전을 위한 장기적 과제로 철도 지하화 방안을 담았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올해 1월 정부가 '철도 지하화 및 철도 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면서 철도 지하화 실현 여건이 마련됐다는 게 서울시 측의 설명이다.
이번에 국토부에 제안할 서울 시내 철도 지하화 구간은 △경부선 일대 34.7㎞ △경원선 일대 32.9㎞ 총 67.6㎞로, 39개 역사를 포함한다.
서울시는 "다수 노선을 공유하는 복잡한 철도망 특성과 지상~지하 연결 가능 여부 등 면밀한 기술적 검토를 바탕으로 지하화가 실현 가능한 대상 구간을 최종적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대상지는 도심 중앙 ‘서빙고역’을 기준으로 경부선 일대, 경원선 일대 총 2개 구간 내 6개 노선이다.
먼저 경부선 일대는 △경부선(서울역~석수역) △경인선(구로역~오류동역) △경의선(가좌역~서울역) △경원선 일부(효창공원역~서빙고역) 노선이다.
경원선 일대는 △경원선(서빙고역~도봉산역) △중앙선(청량리역~양원역) △경춘선(망우역~신내역) 이다. 경원선의 경우 일부 지역은 위치상 경부선 일대에 포함됐다.
기술적 검토를 토대로 산출한 해당 구간 지하화 사업비는 총 25조6000억 원이다. 구간별로는 경부선 일대 15조 원, 경원선 일대 10조6000억 원이다.
서울시는 부지의 특성을 고려해 상부 공간 개발구상을 수립했다. 우선 선형의 ‘선로부지’는 대규모 녹지 네트워크를 조성한다. ‘역사부지’는 중심지 개발 잠재력을 활용해 매각을 전제로 입체‧복합개발한다.
또 철도 지하화로 발생하는 상부 공간(역사부지) 171.5만㎡ 상부 공간에 업무시설,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이 포함된 복합 개발로 도시발전의 큰 축을 담당할 새로운 경제 코어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상부 공간 전체 개발 이익은 3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간 별로는 경부선 구간 약 22조9000억 원, 경원선 구간 약 8조1000억 원이다. 개발 이익을 바탕으로 한 사업비 조달 비율은 121%로 별도의 예산 투입 없이 철도 지하화 실현이 가능하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특히 서울역‧용산역 등 도심 내 대규모 역사에서 발생하는 상부 개발 이익을 그간 지상 철도로 소외되고 낙후됐던 서남권, 동북권의 지역 발전에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도시 균형 발전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철도 지하화 사업의 실현 가능성과 지역 발전의 파급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서울 시내 전 구간 지하화를 국토부에 선도 사업지로 제안할 계획이다. 선도 사업지로 선정되면 2027년부터 사업 시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은 그 어느 지역보다 철도 지하화에 대한 시민 염원이 크고, 지하화에 따른 변화와 발전으로 도시 경쟁력이 크게 높아질 수 있는 도시”라며 “국토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시민 생활 개선은 물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철도 지하화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