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프로젝트)을 24일 공시했다.
주요 내용은 2030년까지 총매출액 30조 원을 기록하고, 인공지능(AI) 사업의 비중을 35%까지 늘리겠다는 것이다. SKT는 AI 사업의 성과를 가시화하고 본격적으로 '돈 버는 AI'를 통한 AI 사업 수익화를 낸다는 계획이다. SKT는 해당 보고서에서 "체질 개선을 기반으로 통신 사업의 정체를 극복하고 미래 신성장동력을 발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SKT는 AI 비전 2030 달성을 위해 빠른 수익화가 가능한 3가지 사업인 AI 데이터센터, AI B2B, AI B2C에 선택과 집중할 계획이다. AI 인프라와 AI 기업 사업, AI 개인서비스 모두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SKT는 빠른 서비스화를 통해 성장하는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다.
SKT는 자본 효율성을 위해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26년까지 10% 이상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핵심 사업인 통신업의 수익성이 정체됐기 때문에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신성장 전략을 발굴해야 한다고 봤다. 또 SKT는 타 통신사 대비 높은 레버리지 때문에 재무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부채관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자산생산성 향상을 위해 비핵심, 저효율 자산 매각도 추진한다. 재무 여력을 개선해 성장투자를 위한 체력을 비축하기 위함이다.
주주환원정책으로는 2026년까지 당기순이익 50% 이상을 주주들에게 환원한다고 했다. 이전과 비교해 주주환원재원의 기준 범위가 확대됐다. 이전 주주환원정책은 주주환원재원의 범위를 정할 때 EBITDA(감가상각전영업이익)-CAPEX의 최대 40%라는 상한선이 있었는데, SKT는 이 상한선을 없앴다. 2023년까지는 주주환원재원 기준을 별도 실적에서 2024년부터 연결 실적 기준으로 바꿨다. 이를 통해 자회사의 성과까지 주주들에게 환원될 수 있도록 했다. SKT는 앞으로도 안정적인 주주환원정책을 통해 주주들이 높은 배당 예측가능성을 가지고 장기 투자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