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자만에 총선 패배…대선에서는 역량 결집해야
이용섭(광주 광산을) 민주통합당 정책위의장은 24일 민주당의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이 의장은 이날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민주당은 좋은 일자리 창출과 민생안정을 모든 정책의 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며 “과거에는 경제가 성장하면 일자리가 자연적으로 크게 늘어났지만 지금은 성장과 고용이 연계되지 않는 시대가 됐다”고 배경을 밝혔다.
노무현 정부 때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을 지냈고 관세청장, 국세청장 등을 역임해 당내 ‘경제통’으로 꼽히는 그는 “이명박 정부 들어 소득에 비해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다”고 지적했다.
이 의장은 “참여정부 5년 동안 연 평균 소비자물가는 2.9%, 실질소득은 2.2% 오른 반면, 이명박 정부 4년 동안 물가는 3.6%나 올랐는데 실질소득은 1.1% 증가하는데 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상승률은 정부가 발표하는 물가지수보다 훨씬 높고,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고물가, 고유가, 고전월세가, 고등록금, 고가계부채 등 소위 5중고로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만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물가상승 원인중 하나로 ‘저금리’ ‘고환율 정책’ 등 정부의 정책 실패를 지적했다.
이 의장은 “정부가 수출대기업 위주의 성장정책을 추진하면서 저금리, 고환율정책 기조를 유지해 수입물가가 크게 올랐다”면서 “정부가 발표한 물가안정 대책들은 과거에 발표한 정책의 재탕,삼탕에 그치고 있어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들은 정당의 공약을 단지 선거용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그렇지 않다고 백번 이야기하는 것보다 하나씩 실천해 나가는 것이 국민의 신뢰를 쌓아가는 첩경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민생특위에서 그는 19대 총선에서 공약으로 내걸었던 ‘7대 비전, 33대 정책약속, 250개 실천과제’ 이행 등 공약 실천을 위한 로드맵 작성을 비롯해 법률 제·개정과 예산 확보 등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수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 “앞으로 만들어질 대선 공약도 총선 공약과 기조 면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특위는 향후 민생현장 탐방과 전문가 논의 등 추가로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칠 예정이다.
“4·11총선 압승할 것이란 자만이 패배 원인”
이 의장은 지난 4·11총선에서의 민주당 패배 원인에 대해 “압승할 것이라는 자만과 안일한 대응이 가장 큰 이유”라고 진단했다.
그는 “선거 이슈가 MB(이명박 대통령)심판과 정책이 되지 못하고 공천 잡음,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와 제주강정마을 문제, 김용민 막말 등 본질에서 벗어난 의제들이 선거쟁점으로 부각된 것도 패배의 원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새누리당이 선거 과정에서 한미FTA 등 ‘야당의 말 바꾸기’ 등을 지적했고, 이것이 부메랑이 돼 보수층 결집을 불러 왔다는 것이다.
또 선거 막판 김용민 ‘막말’ 파문이 벌어지면서 수도권과 충청, 강원지역에서 표을 결집하는데 실패했다는 판단이다.
야권연대를 하는 과정에서 통합진보당의 급진적 정책을 너무 수용해 ‘좌클릭’ 했다는 지적에 대해 이 의장은 “좌클릭했다는 주장은 야권연대와 한미FTA, 제주 해군기지 건설 문제와 관련해서 일부 언론과 새누리당 등에서 이념적 색깔론과 연결시켜 민주당을 음해한 선동적 주장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또 “진보가 시대의 흐름”이라며 “진보와 보수를 좌우 이념의 문제로 봐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그는 공천과정에서 특정 계파의 독식과 호남출신 관료들을 대거 탈락시킨데 대해 우회적으로 불편한 심경을 밝혔다. 이 의장은 “우리가 공천과정에서 외연을 넓히지 못하고 좁게 가지고 갔다는 지적은 겸허히 수용해야 할 것”이라고 인정했다.
연말 대선에 대해선 “정권교체 그 자체가 발전이고 민생”이라며 “대선에서는 정권교체에 당의 역량을 결집해 이번 선거과정에서 나타난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고 총선 패배가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재선에 성공한 이 의장은 광주지역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74.7%)로 압승하며 총선을 통해 광주를 대표하는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의장은 19대에선 교육과학기술위원회나 지식경제위원회 활동을 통해 반값등록금이나 중소기업 문제를 공부해 보고 싶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향후 국회 의정활동과 관련해선 “책임정치가 중요하다”며 “정치가 외면 받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에서 국민에게 신뢰와 희망을 주는 정치인으로 거듭 나겠다”고 포부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