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는 보건, 의료산업을 창조경제의 한 축으로 삼아 제약 및 의료산업을 육성하고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정책 목표를 세웠다. 일반적으로 의료서비스 산업은 건강 유지, 질병의 예방·경감·치료를 위해 적용되는 과학 및 기술상의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통칭한다.
의료서비스 산업은 연구개발, 임상실험, 제조 등의 과정에서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산업과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의약품, 의료기기 등을 유통시키는 가치사슬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가치사슬 내 산업 간 연관관계를 통해 상호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특장을 갖췄다.
현 정부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가 일자리 창출이다.
일자리 창출과 서민경제 활성화의 효율적 방법 중 하나가 중소기업과 의료산업 육성일 것이다.
의료산업은 노동 집약도가 매우 높은 분야다. 그렇다고 단순 노동집약도가 높은 것만이 아니다. 고도의 의료기술진(의사, 간호사)과 행정인력 및 서비스 인력을 필요로 하는 미래 성장동력 및 수출전략산업으로 꼽힌다.
의료산업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의료기관에서 훈련받아 학습된 고도의 기술인력에 대한 해외진출을 통해 고소득 직업군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병원 경영의 정책변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라 고도의 병원 경영전략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병원 경영의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으로 경영전략이 요구된다.
박근혜 정부는 기존의 ‘공공의료의 확충’ 정책기조와 함께 ‘의료산업화’에도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의료공급자 입장에서는 현행 공공보험체계에서 ‘의료의 서비스 산업화’라는 과제를 동시에 안게 되었다고 하겠다.
국내 의료시장에서 공급경쟁이 커지면 공급자 주도로 이뤄졌던 의료시장은 환자의 수요와 의향에 따라 소비자 주도로 변화된다.
치과계에서 수년째 논쟁 중인 ‘반값 임플란트’ 이슈는 궁극적으로 이미 이 진료영역은 공급자 주도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시장 이니셔티브가 넘어가고 있음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정책 변화와 소비자 주권 시대의 도래, 글로벌 경쟁 심화 등의 환경에서 병·의원들도 지속 성장은 둘째치고 생존전략을 수립하는 게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생존전략의 일환으로 공동 개원이나 유명 네트워크 병원에 가입해 특정진료를 전문으로 하는 전략으로 활로를 찾기도 한다.
이에 고객(환자)관리, 직원관리, 세무·자금운용관리, 홍보·정보관리, 물자의 공동구매와 공급관리 등을 누군가가 모두 처리해 주는 기능적 조직체인 병원경영지원회사(MSO)가 더욱 활성화돼야 한다는 목소리 또한 높아지는 추세다. 정책당국은 산업화 측면에서 한국형 MSO제도 정비에 나서야 한다. 투자개방형(자본조달형) MSO도 그 필요성을 따져봐야 한다.
국민 대다수가 힘들고 어렵다. 병·의원계도 위기라고 말할 정도로 어려움을 토로한다. 과거 유명했던 병원들도 경영을 축소 운영하고 있는 상태다.
의료계 최상의 목표는 ‘값싸고 좋은 의료 서비스’일 것이다. 그러나 ‘값싸고 좋은’ 의료라는 상충관계를 해결하는 게 어디 그리 쉬운 일인가?
이제 세계의 의료산업도 무한경쟁시대로 진입했다. 우리나라의 성형, 피부, 척추, 치과부문 의료 서비스 경쟁력은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도 높다.
국내 모 프랜차이즈형 치과와 한의원 의료기관이 현재 미국 내 의료수출에서 결실을 맺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내 의료산업도 영역에 따라 충분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가 의료산업을 창조경제의 주춧돌로 삼고자 한다면 차제에 시대에 동떨어진 기득권적 규제가 없는지 살펴보고 필요하다면 과감한 수술도 단행해야 한다. 창조경제는 혁신에서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