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경찰‧식약처 ‘불량식품’ 엇박자

입력 2013-07-23 11: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곽민지 사회생활부 기자

기자의 한 지인은 아이가 맛가루를 너무 좋아해 구입을 위해 최근 마트를 찾았지만, 진열된 제품은 딱 두 종류뿐이었다며 이 제품들이 문제가 된 업체인지 아닌지 알 길이 없다고 했다. 맛가루 피해업체 또한 답답한 입장이다. 육아카페에 한 피해 식품업체 담당자는 우리 제품은 이번 동물 사료용 재료를 사용한 업체가 절대 아니며 식약처 허가까지 받은 믿을 만한 제품이라고 해명 글을 남겼다.

‘밥에 뿌리는 맛가루’를 두고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경찰의 상이한 발표에 불똥이 엉뚱한 데 튀었다. 그 피해를 고스란히 소비자와 문제 없는 업체들이 받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는 문제 업체를 몰라 제품을 선택하는 데 애를 먹었고, 이번 사태와 무관한 식품업체들은 매출 감소와 이미지에도 타격을 입었다.

대통령의 불량식품 척결 한 마디로 인해 실적 올리기에 급급한 경찰의 섣부른 발표와 이에 손발을 못 맞춘 식약처가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지난 5월 9일 두 기관이 부정·불량식품 근절 공조체제 구축을 위해 맺은 업무협약의 의미도 무색해졌다.

두 기관의 엇박자 행정은 업체 전체를 도산하게 할 수 있는 파급력을 가진다. 과거 2004년 전국을 떠들썩하게 한 쓰레기만두 파동 때를 떠올려 보라. 두 기관이 당시 긴밀한 소통과 신중한 태도로 사건에 임했다면 중소업체들의 도산을 막고 한 사람의 목숨을 지켜낼 수 있었다.

식품에 대한 국민들의 수준이 과거보다 높아진 점도 두 기관의 역할이 현재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식품이 인체에 유해하냐를 떠나 그 재료의 품질과 가공과정에 대해서도 소비자는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식약처와 경찰의 판단과 기준에 우리의 식탁과 안전을 맡기고 있다. 처음 수사부터 검사 결과 발표까지 서로의 업무에 대한 정보 공유는 물론 사건에 대한 사후관리에도 긴밀히 소통해야 한다. 그러지 않고는 불량식품이 여전히 우리 옆에서 위협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