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9.3% 증가...국민건강보험공단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최근 5년간 턱관절 장애를 앓는 환자가 42.6% 증가했다. 특히 10~20대 환자가 전체 연령의 46.7%를 차지하는 등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2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턱관절 장애’ 질환의 전체 진료인원은 2008년 20만4995명에서 2012년 29만2363명으로 42.6% 늘었다. 이는 연평균 9.3%가 증가한 것이다.
성별로 살펴보면 2012년 기준 여성이 17만6750명, 남성이 11만 5613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턱관절 장애는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2012년 기준 589명이었으며 20대가 119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대(915명), 30대(617명), 70대(444명), 60대(440명), 40대(438명) 순이었다.
연령대별 남녀 성별 차이는 30대 1.8배(남 440명 여 803명), 40대 1.7배(남 324명 여 557명), 20대 1.7배(남 911명 여 1512명) 순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최근 5년간 ‘턱관절 장애’로 병원을 찾은 진료환자를 월별 분석한 결과 7~8월과 12월에 진료인원이 증가했다. 계절적인 특성보다는 질환 비율이 높은 10대 청소년이 방학을 맞아 병원에 찾는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다.
턱관절 장애는 음식물을 씹거나 말할 때 아래턱을 움직일 수 있게 해 주는 양쪽 귀 앞쪽에 있는 턱관절 자체나 주위 근육에 문제가 생겨 발생한다. 턱을 움직이거나 가만히 있을 때 통증을 느낀다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 김문구 교수는 “청소년기는 아래턱뼈 성장이 어느 정도 완성되어 가는 시기이고, 스트레스, 예민한 감수성 등 여러 정신적 요인 등으로 턱관절에 장애가 생겨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며 “턱을 오래 괴고 있거나, 긴장할 때 이를 악무는 습관 등 턱관절에 안 좋은 힘이 전달될 수 있는 습관을 삼가는 방향으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