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이투데이 1면]화웨이 이어 체리車 … 중국 제조업의 역습 등

입력 2014-08-14 11:02수정 2014-08-14 13: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 화웨이 이어 체리車…중국 제조업의 역습

저가 자동차로 한국시장 공략… 한ㆍ중 FTA 타결 후 수출 노려

중국 자동차 수출 1위 업체인 체리자동차(奇瑞汽车; 치루이기차)가 한국 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국내 스마트폰 출시를 준비하는 데 이어, 체리자동차도 국내 진출을 검토하면서 ‘중국 제조업의 역습’이 현실화되고 있다. 14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체리자동차 관계자들은 한국을 방문해 구체적인 시장 조사를 실시했다. 이들은 한국에서 수입차업계 관계자를 만나 판매 현황과 딜러 규모 등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정부, 장애인 의무고용률 또 상향조정 실효성 논란

기업체 2019년까지 3.1%로… 공무원ㆍ공공기관 3.4% 까지

정부가 장애인의무고용률을 상향 조정하는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벌금에만 의존하는 기존 제도를 고수한 탓에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또다시 올려봐야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고용노동부는 제도의 근거가 되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시행령’의 개정안을 14일 입법예고했다.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민간기업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현행 2.7%에서 2019년까지 3.1%로 단계적 상향하고, 국가·자치단체 공무원과 공공기관 또한 현재 3.0%에서 3.4%로 올린다는 내용이 골자다.


◇ [포토] 이땅에 평화의 빛 내려주소서… 프란치스코 교황 역사적 방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1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 피우미치노 공항에서 한국 방문길에 오르기 전 취재진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교황은 한국시각으로 14일 오전 10시 30분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4박5일의 일정을 시작한다. 박근혜 대통령 영접과 함께 한국 땅을 밟는 교황은 방한기간 아시아 가톨릭청년대회와 천주교 순교자 124위 시복식 등 4차례 미사를 집전하며 15일에는 세월호 참사 생존학생과 유족들을 직접 만나 위로할 예정이다.


기준금리 연 2.25%로… 끝내 내린 이주열

한은, 15개월만에 0.25%P 내려… 2기 경제팀과 정책공조 강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인하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위시로 하는 박근혜 정부 2기 경제팀에 화답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4일 서울 남대문로 본관에서 회의를 열고 8월 기준금리를 연 2.25%로 0.25%포인트 내렸다. 지난해 5월 0.25%포인트 내린 이후 1년 3개월 만에 조정한 것이다.


◇ "기술 지켜라" 휴직카드 꺼낸 팬택

법정관리 후 임직원 이탈 막기… 1800명 순환 유급휴가제 실시

팬택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 후 고조되는 고용 불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1800여명의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순환 유급휴직제’를 실시한다. 팬택 관계자는 “순환적으로 유급휴직을 실시하는 것을 내부 결정했고, 휴직 기간과 해당 기간에 지급할 급여 수준 등의 세부 기준을 현재 조율 중에 있다”고 13일 밝혔다. 팬택은 법원의 기업회생 절차 개시 여부 결정까지 걸리는 약 3개월 동안 순환 유급휴직을 우선 적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 [그래픽] 어음부도율 또 고공행진

어음부도율이 지난달에도 0.2%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14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7월 중 어음교환소에 교환 회부된 어음과 수표(274조4091억원) 중 5626억원어치가 부도 처리됐다. 이에 따라 부도율은 0.21%로, 작년 동기(0.14%)보다 0.07%포인트나 높아졌다. 이 수치는 지난 5년간 연평균 어음부도율 약 0.13%보다도 높은 것이다.


◇ [그래픽] 은행 분쟁조정 신청 급증

은행 고객이 제기한 분쟁조정 신청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6월 은행을 대상으로 분쟁조정을 신청한 고객 민원은 1762건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232건)보다 43%나 늘어난 수준이다. 작년 발생한 외환은행 대출금리 조작, 동양증권 기업어음(CP) 불완전판매, 개인정보 유출 등 각종 사건으로 은행권에 대한 불신이 커진 데다 소비자들의 권익 향상이 맞물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