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경영 안갯속
대우조선해양은 2분기에 1조~2조원 대의 해양플랜트 부문 손실을 실적에 반영한다. ▶관련기사 2015년 7월 13일 [삼성ㆍ대우도 해양플랜트 부문서 수조원대 손실]
업계 일각에서는 손실 규모가 최대 3조원에 달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1년 2조4000억원에 수주한 반잠수식 시추선의 건조 과정에서 대규모 손실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에도 다수의 해양플랜트 사업에서 적지 않은 손실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이 해양플랜트 사업에서 대규모 손실을 낼 것이란 건 이미 예전부터 예견됐다.
국내기업이 플랜트 사업 부문에서 대규모 적자를 고백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3년부터다. 당시 삼성엔지니어링은 플랜트 부문의 손실을 실적에 반영하면서 1조280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2014년에는 현대중공업이 손실을 실적에 반영하면서 3조2495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같은 해 삼성중공업도 7500억원 규모의 해양플랜트 손실로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80% 줄어든 1830억원에 그쳤다.
이처럼 플랜트 사업에 뛰어든 기업들의 손실이 수면 위로 드러나자 대우조선해양도 예외는 아닐 것이란 관측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런 와중에 정 사장이 새 선장이 되면서 손실을 모두 털어내려 하는 것이다.
정 사장이 대우조선해양의 손실을 드러내자 회사의 경영은 안갯속으로 빠지게 됐다. 당장 채권단은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작업)이나 법정관리를 검토하고 있다. 정 사장이 회사의 손실을 털고 새로운 경영을 하려해도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로 가게 되면 회사 운영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된다.
문제는 대우조선해양에서만 그치지 않는다. 업계에서는 삼성중공업도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올해 추가 손실이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조 단위 손실을 회계장부에 반영한 것과 비교하면 삼성중공업이 지난해 쌓은 충당금은 7500억원에 그쳤다. 삼성물산 역시 육상 플랜트 부문에서 대규모 손실이 났을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기업이 플랜트 사업에서 대규모 손실이 뒤늦게 발생하는 것은 수주 산업의 특성과 연관이 깊다.
플랜트와 같은 대규모 자금이 들어가는 프로젝트는 발주사의 선수금을 받고 제조사가 작업을 하게 된다. 공사가 2~5년에 걸쳐 장기간 이어지다 보니 언제 어느 때 손실을 털 지 회사의 입맛대로 결정할 수 있다.
중공업계 고위 관계자는 “플랜트 부문의 손실을 ‘일단 (플랜트를) 올려봐야 안다’는 말도 있다”며 “설계와 관련한 원천 기술이 없기 때문에 발주사의 잦은 설계 변경 요구를 들어주다 보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이 관계자는 “아직도 플랜트 사업의 부실을 드러내지 않은 기업이 분명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