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산업부, K-ICT 디바이스 육성방안 마련
정부가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2019년까지 5년간 42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ㆍ모듈 기술 개발에 성공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닌 기업을 300개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제1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창조경제 핵심성과를 달성하고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ICT 디바이스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기존 PC나 스마트폰 등 단말기를 넘어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 이용자와 사물 간에 정보통신 서비스를 전달하는 지능화된 단말기를 말한다. 착용형(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 워치, 가상현실(VR) 글라스, IoT 기반 스마트 칫솔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이번 육성방안은 전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시장에서 한국이 주도해온 스마트폰 등 주력 상품의 성장이 둔화하는 반면 스마트 기기의 시장 규모는 급속히 확대되고 있어 확고한 기술력으로 초기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우선 정부는 기술 개발이 추진되는 10대 스마트 기기 부품ㆍ모듈 분야는 생체신호 측정, 광ㆍ이미지 센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무선주파수(RF) 동작인식 등으로, 매년 2∼3개 과제를 선정해 연차별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패션과 안전, 의료 등 다른 산업 분야의 유망 기업 제품에 센서나 IoT 등 스마트 기술을 접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전통 제조기업이 스마트 디바이스 기업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이 쉽게 나올 수 있도록 제품화 지원 작업에도 나선다. 연평균 200건씩, 총 1000건의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화 지원을 목표로 내놨다.
판교ㆍ대구 등 전국 7개 지역에 있는 ‘K-ICT 디바이스랩’ 등 지역 ‘창작거점’을 연계해 중소ㆍ벤처기업뿐 아니라 일반인이 제품 개발 시 상품성과 디자인을 검증할 수 있도록 공통 시설·장비·작업공간도 제공하기로 했다.
또 17개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운영하는 ‘보육기업 제작환경’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한편 해외 통신ㆍ네트워크 사업자의 인증환경을 국내에 구축해 국내 기업의 제품 개발 비용과 시간도 줄여주기로 했다.
상용화 초기단계에 있거나 단기간 내 개발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제품 파급력이 큰 공공분야에 먼저 적용할 수 있도록 연간 1∼’2개의 사업화 지원도 이뤄진다. 코트라와 전문 무역상사 등을 통한 우수 스마트 기기의 수출 컨설팅, 해외 수요처 발굴 작업도 추진된다.
여기에 스마트 기기 창작문화의 확산을 위해 2020년까지 웨어러블 소프트웨어(SW), IoT 단말기술, 임베디드 SW 등 스마트 기기에 전문 역량을 갖춘 석·박사급 인재 820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일반인과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 제작, 디자인 등의 교육기회도 확대해 1만 명이 수혜를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