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가 대우조선해양과 성동조선의 운명을 가르는 ‘슈퍼위크’가 될 전망이다. 특히 이들 기업의 경영정상화에 열쇠를 쥔 채권단의 최고 결정권자들이 모두 미국 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 수행을 마치고 이번 주말 귀국할 예정이어서 이러한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대우조선해양, 성동조선해양 채권단은 오는 22일을 전후해 기업별로 추가 지원 여부를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이들 채권단은 실사 결과(대우조선), 의결권 충족(성동조선) 등 기업별 이슈에 대한 막바지 논의와 평가를 진행 중이다. 홍기택 산은 회장, 이덕훈 수은 행장, 김영학 무보 사장은 다음 주 초께 각각 결과를 보고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의 경우 산은, 수은이 각각 회계법인을 통해 실시한 실사가 최근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이번 실사에서 해외 자회사로 인해 1조원대 부실이 추가로 드러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대우조선 채권단은 총 4조원의 부실을 떠안게 될 처지에 놓였다.
대우조선 대주주인 산은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자금 여력이 충분치도 않지만, 수 조원을 투입하더라도 주채권은행인 수은의 도움 없이 대우조선의 재무 건전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게 더 큰 문제다.
업계는 산은이 대우조선해양 부채비율을 낮추기 위해 1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하더라도 12조원이 넘는 여신을 보유한 수은의 출자전환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수은은 2010년부터 2조원이 넘는 자금을 쏟아 붓고 있는 성동조선에 대한 추가 지원 등 조선사에 대한 재무적 부담이 늘고 있어 난색을 보이고 있다.
한계기업을 정리하겠다고 나선 정부의 입장도 변수다. 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출범한 범정부 협의체가 조선 업종을 첫 타깃으로 삼은 만큼 어떤 식으로든지 산은의 대우조선 지원 방안에 영향을 끼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산은 관계자는 “수은과의 조율, 금융당국 협의 등이 남아 있는 만큼 이르면 다음 주 후반에 지원 방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성동조선 추가 지원은 무보의 채권단 복귀 내부 논의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결정이 미뤄졌다. 수은은 이달 초 무보의 채권단 복귀를 조건으로 2019년까지 4200억원의 추가 자금 지원안건을 부의했다.
부의 안건이 가결되기 위해서는 75%의 의결권 동의가 필요한데, 현재 우리은행이 추가 지원에 난색을 보이며 채권단에서 빠져나갈 것을 기정사실화한 만큼 수은 입장에서 무보의 합류가 필수적이다. 채권기관별 의결권 비율은 수은 51.4%, 무보 20.39%, 우리은행 17.01%, 농협은행 5.99% 등이다.
업계는 수은이 분담할 수 있는 손실 한도를 정해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을 제시한 만큼 무보가 복귀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