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론] 해외사례를 보며 평창을 생각하다

입력 2015-11-19 10: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성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스포츠레저학부 교수

세계적인 스포츠시설이 있다. 이 시설은 메가스포츠 이벤트를 개최하기 위해 건축된 대규모 시설로, 약 2300억원이라는 거액이 투입되었다. 하지만 이 시설의 신규 건축에 대한 당위성은 그리 크지 않았다. 오직 17일간의 이벤트 진행이 신규 건축을 위한 당위성의 전부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설 건축을 원하는 사람들은 17일간의 대회 후에 남겨지고 버려질 이 시설의 태생적 운명을 극복하기 위해 여기저기에서 지혜를 모으기 시작했다. 또한 그들은 유사한 시설을 찾기 위해 전 세계를 여행하였고, 그 결과 실패한 시설들의 공통적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그러고는 마침내 하나의 결론에 이르렀다. “이전에 만들어진 실패한 시설들의 반대로만 만들고 운영하면 되겠구나!” 매우 단순하지만 명확한 결론이었다. 그들은 그 결론대로 시설을 건축 및 운영하였고, 그 결과는 실로 놀라웠다. 축구장 5개를 합친 것보다 더 큰 시설에서 지난해에만 크고 작은 국내·국제 이벤트가 열흘에 한 번 꼴로 개최되었다. 그동안 수상한 건축상만 무려 37가지에 이른다. 또한 지역사회 개방과 엘리트스포츠를 위한 사용 비중을 80 대 20으로 조정하여 지역사회에 과감하게 개방하였고, 대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매우 저렴하게 제공하였다. 그 결과는 어떨까. 그 시설은 당연(?)하게도 흑자 운영을 하고 있다. 그것도 고작 20만 인구가 전부인 소도시에서 말이다. 또한, 전체 매출의 50% 이상인 80여억원을 대중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벌어들이고 있다. 물론 해당 도시로부터 소정의 지원금을 매년 받고 있지만, 이는 운영 지원금이라기보다는 복지 예산에 가깝다. 보다 더 많은 주민들이 보다 더 저렴한 가격에 시설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설은 무엇일까. 바로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의 빙속경기를 위해 리치먼드 시가 건축한 리치먼드 오벌이며, 위의 내용들은 필자가 오벌을 방문하여 CEO인 조지 던컨(George Duncan)으로부터 직접 듣고 건네받은 자료에 나와 있는 사실이다. 한 가지 더 부러운 점은 올 11월부터 2층 관중석 일부를 개조한 공간에 올림픽 박물관이 들어선다는 것이다. 이로써 리치먼드 오벌은 전 세계 22개 올림픽 박물관 중 하나로 올림픽 박물관 네트워크(Olympic Museum Network)에 정식 가입하게 되었다.

이 시설은 동계올림픽을 앞둔 국내에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대중을 위한 시설은 수익성이 없다는 검증되지 않은 속설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수익성은 소득 수준, 경제 규모, 콘텐츠, 주변 상업시설 여부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하지만, 인구만 고려할 때 리치먼드 시의 인구는 국내 빙속경기장이 들어올 강릉시의 22만명보다 오히려 적다. 따라서 기타 요인 변수가 존재한다 해도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엘리트 스포츠와 생활 스포츠의 공존에 대한 해법을 보여준다. 올림픽 이후 남겨질 시설물들이 특정인들의 전유물이 되거나, 특별히 일반대중의 소외를 유발해서는 안 된다. 이미 일부 선진국에서는 신체 활동의 가치파악 수준과 스포츠 수행에 대한 능력 수준을 바탕으로 스포츠 참가자를 분류하는 ‘신체역량(physical literacy)’ 개념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엘리트 체육 참가자들은 신체 활동의 의미 파악과 수행 수준이 최고조에 도달한 사람들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필연적으로 다양한 수준의 스포츠 참가자를 지원할 수 있는 통합적 시설이 제공되어야 한다. 올림픽 사후시설은 응당 엘리트체육과 생활체육 모두를 넉넉히 아우르고 지원할 수 있는, 도시민의 행복 자산이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후 활용에 대한 선(先) 계획 수립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리치먼드 오벌의 핵심 가치는 ‘올림픽을 위해 짓되 유산을 위해 디자인하라’였다. 사전 계획이 충실할수록 사후 리모델링 비용과 시행착오가 줄어드는 것은 자명하다. 리치먼드를 보며 우리가 충실한 사후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지, 이를 위해 설계 등 기존의 결정을 변경할 유연성이 있는지 자문자답할 시간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