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그 돈으로 도적들을 모아 무인도로 들어간 허생은 농사를 지어 수확한 양곡을 일본 나가사키(長崎)에 팔아 100만 냥의 수익을 올렸다. 그 돈 가운데 10만 냥만 들고 나온 허생은 변씨를 찾아가 빚을 청산했다. 줄거리는 이게 끝이 아니지만 요점은 다 나왔다. 연암이 이 작품에서 주장한 것은 적극적 상행위를 통해 부국이민(富國利民)의 방도를 마련하자는 것이었다.
사마천의 ‘사기’ 세가(世家)에 나오는 범려(范蠡)는 최고의 상인이었다. 월왕(越王) 구천(句踐)을 도와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무찌른 그는 구천과는 환난은 함께 할 수 있어도 안락은 함께 누릴 수 없다며 떠나버렸다. 이른바 장경오훼(長頸烏喙)의 고사다. 그 뒤 도(陶)라는 곳에 가서 도주공(陶朱公)이라고 칭하며 농사와 목축으로 물건을 사두었다가 때를 기다려 다시 팔되 1할의 이윤을 남겼다. 곧 억만의 재산을 모으니 천하가 알아주고 부러워했다.
허생과 도주공의 공통점은 무천매귀(貿賤賣貴), 물건을 싼 값에 사서 비싼 값에 파는 것이다. 도주공이 남긴 18가지 장사 비결[經商十八訣] 중 제 11항은 “매매는 시기에 맞춰 신속히 하고 절대 늦추지 말라. 게을러 늦추다가 좋은 기회를 놓친다”[買賣要隨時 切勿拖延 拖延則失良機]고 돼 있다.
이렇게 장사 이야기를 한 것은 12월 5일이 무역의 날이기 때문이다. 개인이든 나라든 돈 버는 비결은 같다. 무역의 貿에는 물건을 몰아서 산다는 뜻이 들어 있고, 易에는 변한다[變] 바꾼다[換]는 뜻이 있다. fused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