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특히 한국고대사의 서술 체계에 대해 의문이 제기된 것은 오래되었다. 해방 이후 지금까지 계속된 장구한 의문이다. 그 단적인 예가 이종찬 전 국정원장의 문제 제기이다. 어려서 항일가문에서 배웠던 역사와 지금 학교에서 가르치는 역사가 왜 다르냐는 것이다. 지금의 역사서술 체계가 조선총독부에서 만든 식민사관이 아니냐는 항변이다. 해방 이후에도 조선총독부 사관을 고집하려다 보니 이들은 자신들의 역사관을 실증주의라고 합리화했다. 그러나 실제 역사 사료가 공개되면서 이들이 주장하는 실증 역시 사료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불리한 사료는 없는 것으로 치부하는 가짜 실증이라는 사실도 드러나고 있다. 조선총독부가 만든 고대사관의 핵심은 크게 둘이다. 하나는 한사군 한반도설로서 한반도 북부에는 중국의 식민지인 한사군이 있었고, 다른 하나는 임나일본부설로서 한반도 남부에는 일본의 식민지인 임나일본부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 두 사관은 한국사를 모두 반도에 가둔 반도사관인데, 아무런 사료적 근거가 없음에도 한사군 한반도설은 아직껏 유지되고 있고, 임나일본부설은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으로 조금 형태만 바뀐 채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 두 반도사관이 과연 사료에 비추어 볼 때 근거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계속 커지고 있다. 그래서 이번 기획은 이 두 사관이 과연 합당한 사료적 근거를 가진 주장인지를 검증하는 형태로 진행될 것이다.
필자들은 이 분야의 책을 썼거나 이 분야에 대한 중국의 고대 1차 사료를 섭렵한 연구자들이다. ‘삼국사기’ 천문기록은 과학적인 입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천문학자도 참여하였다. ‘지금 국사는 왜 내가 어릴 때 배운 국사와 다를까’(이종찬 전 국정원장)를 시작으로, 사료로 보는 민족의 기원과 고대조선 강역(이도상·역사학자), 일제는 왜 단군을 말살하려 애를 썼나?(김동환·국학연구소 연구위원), 고조선 국경선, 패수의 위치는 어디인가?(황순종·고대사연구가), 한사군은 중국의 식민지가 아니었나?(허성관 전 광주과기원 총장), 낙랑군은 평양에서 요동으로 이동했는가?-교군(僑郡)설 비판(이덕일·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일본인들은 왜 ‘삼국사기’를 가짜로 몰았는가?(김병기 박사·대한독립운동총사편찬위원장),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는 어디에 있었는가(황순종·고대사연구가), 지도로 보는 임나일본부설(정암 지리학 박사·대한독립운동총사편찬위원 ),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바라 본 한사군의 위치(이덕일·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천문으로 보는 한국고대사(박석재·한국천문연구원 연구위원), 한국 실증주의 사학의 실체(임종권·숭실대학교 초빙교수) 등 모두 12회 게재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