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매각 흥행 성공할까

입력 2016-08-10 09:17수정 2016-08-10 15: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은행 민영화 분위기가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진성 투자자 확보 여부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공존하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22일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의 정례 전체회의가 예정됐다.

공자위는 통상 매월 둘째 주, 넷째 주 월요일 전체회의를 열어 현안을 논의한다. 이달 공자위 전체회의가 주목받는 이유는 우리은행 민영화 이슈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우리은행에 약 12조8000억 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현재까지 8조2000억 원을 회수했고, 예보는 51%의 우리은행 보유 지분을 정리해 나머지 4조6000억 원을 회수할 계획이다.

정부는 2010년부터 네 차례에 걸쳐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을 추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금융위는 지난해 7월 우리은행 지분을 4~10%씩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방식을 통해 다섯 번째 민영화 작업을 시작했다. 이후 올초 중동 국부펀드의 태도 변화 등 한 차례 부침을 겪었지만 최근 국내외에서 투자 수요가 일어나는 등 매각 성사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정부의 우리은행 지분 매각 의지도 그 어느 때보다 강하다. 공자위 매각심사소위원회는 이례적으로 지난달 4일과 11일 2주 연속 회의를 열어 우리은행 매각과 관련한 쟁점사항을 논의했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우리은행 민영화를) 다섯 번 실패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금융권에는 이달 안에 우리은행 매각공고가 날 것이란 예상이 많다. 매각공고는 공자위 전체회의에서 결정하는 만큼 오는 22일 우리은행 매각안건이 상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에서는 우리은행 지분 인수 유력 후보군으로 사모펀드(PEF)가 줄기차게 거론되고 있다.

국내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MBK파트너스, 한앤컴퍼니, 아이엠엠프라이빗에쿼티(IMMPE), 에이치앤큐(H&Q), 모건스탠리 아시아퍼시픽PE 등이 ‘빅5’로 꼽힌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대형 사모펀드들은 2조~3조 원의 실탄을 갖고 있어서 우리은행 매각에 입찰에 참여할 자금력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반면 국내 사모펀드들이 대부분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인 만큼 경영권 확보가 불투명한 4~10%의 과점주주 매각 방식은 오히려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여론도 있다. 과거 국부 유출 논란을 일으킨 외환은행 론스타 사태의 학습효과로 재무적투자자(FI)에 대한 거부감도 장애요인으로 지목된다.

우리은행 민영화의 최대 관건은 진성 투자자를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느냐이다.

금융위가 수요조사 등을 통해 유효 투자자를 어느 정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모펀드(PEF) 등 투자 후 회수가 목적인 재무적투자자에 국한될 경우 진정한 의미의 민영화가 맞는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도 있다.

일각에서는 금융위가 의지를 갖고 우리은행 민영화를 추진하는 만큼 수요조사에 시간이 걸리는 것도 이 같은 문제를 의식한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현재 금융위는 투자 수요에 대해 진성 투자자 확인 작업을 반복해서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산업 자본의 우리은행 지분 보유 제한도 매각 흥행을 가로막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일례로 우리은행 인수에 큰 관심을 보였던 새마을금고는 법상 비금융주력자(산업자본)인 만큼 은행 지분을 4% 초과해 보유할 수 없다. 우리은행에 전략적투자자(FI)로 참여할 방법이 없는 셈이다.

시장에선 우리은행 지분 인수 후보로 중국 안방보험 등 해외 투자자에 대한 얘기도 돌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수요조사를 마무리 중이며 구체적인 매각방식을 검토 중”이라며 원칙적인 말만 되풀이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