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인더스트리 4.0 정책을 발표하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도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수립하는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거대한 흐름의 움직임은 이미 몇 년 전부터 일었다. 다만 지난해 우리가 눈으로 확인한 알파고의 인공지능 수준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파괴력이 컸다는 점에서, 대응 전략은 더욱 시급해진 듯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코자 지난해 말부터 신산업 민관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 대변혁의 특징을 스마트화·서비스화·친환경화·플랫폼화 등 4대 메가트렌드로 분류하여 진단하고, 2025년까지 신산업 비중을 현재의 2배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그러나 일반 기업인의 입장에서 볼 때 4차 산업혁명은 멀고, 복잡하고, 어렵게만 느껴지고 있는 부분도 사실이다. 이에 4대 메가트렌드에 부합하는 12대 중점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일반 기업인의 입장에서 4차 산업혁명에 쉽고 편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전략을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첫 번째로, 그동안 하향식으로 추진돼 오던 신산업 기술로드맵을 중소·중견기업 등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를 조사해 상향식으로 재정비해야 한다.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신산업 기술에 대한 수요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SNS 등에서 도출된 빅데이터로부터 신기술·융합기술의 방향성을 파악해야 한다. 한편, 기업 실무자를 위해 신산업을 홍보하고 과제기획 방법을 교육하는 시간도 많이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지역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신산업 기술로드맵이 반영될 수 있도록 중앙과 지역 간 상호 협력하되, 필요하다면 기존의 주력·협력 산업의 틀을 벗어나는 것도 수용해야 한다. 다양한 산업의 스팩트럼 중에서 하이테크·신기술 외에도, 고용 대응책 마련이라는 측면에서 고용유발 효과가 큰 지역연고사업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입혀 활성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지자체별로 운영하고 있는 정책기획단이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시 신산업 부합 여부를 함께 검토하는 것도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신산업 분야별로 표준화가 필요한 부분을 추가로 발굴하고, 별도의 기술표준 제정을 위한 신산업 표준화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 독일에서도 지난해 인더스트리 4.0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을 발족하면서, 기업 간 이해관계 조정과 중소기업 참여 확대를 통한 기술의 표준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2대 신산업 표준화로드맵을 수립하고자 계획 중인데, 이때 제품 성능의 표준뿐만 아니라, 안전과 글로벌 기술 규제도 통합적으로 검토돼야 할 것이다. 신산업 표준화에서 비롯되는 글로벌 기술 규제야말로 새로운 미래 산업을 잉태하는 초석이고, 이 분야를 선점해야 지속적이고 반듯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진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을 통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빅데이터로 저장하면, 인공지능이 이를 새로운 정보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가 5세대 이동통신임을 고려할 때 IT강국인 우리나라 기업으로서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향후 10년 이내 전 세계 산업은 이러한 거대 변화에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이끌어 나가는 기업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도 12대 신산업별로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할 제품을 정비해 집중 지원하고 신산업 관련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주력 플레이어의 한 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