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장관 "전기차, 신차 시장의 1% 수준 보급 목표"
정부와 기업이 손 잡고 자동차산업 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 합동 정책 컨트롤타워가 처음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주형환 산업부 장관 주재로 자동차산업 정책을 총괄하는 민관 합동 '자동차산업 발전위원회'를 출범하고,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현대ㆍ기아차를 비롯해 완성차 5사 대표와 자동차산업협회장, 자동차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산업연구원장, 자동차부품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출범식을 계기로 미래차시장 선점경쟁 등 급변하는 국내외 자동차산업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민관이 총력 대응함으로써 자동차산업 재도약의 기틀을 다진다.
주형환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4차 산업혁명의 확산과 중국ㆍ인도 등 후발주자의 추격, 불확실한 통상 여건 등 대내외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자동차산업이 중대한 전환기에 서 있다고 말했다.
특히, 우리 자동차 산업이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자동차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국가적인 역량을 하나로 결집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 장관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우리 자동차산업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친환경ㆍ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전기차의 경우에는 현재 누적 1만 기의 충전인프라를 올해 말까지 2만 기로 두 배 늘리고 다양한 인센티브도 확대해 전기차가 신차 시장의 1% 수준으로 보급되는 전환점을 만들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아울러 완성차 업계에 소비자의 선호에 맞는 다양한 모델 개발과 성능향상 등을 위해 투자를 지속 확대해 달라고 당부했다.
올해 완성차 5개사는 미래차 분야에 약 4조7000억 원의 투자를 할 예정이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움직임에 대해 주 장관은 전략적인 통상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 장관은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미국 자동차의 대한(對韓) 수출이 연평균 35.5% 증가했다"며 "우리 기업의 현지 투자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을 잘 설명해 한ㆍ미 FTA 효과에 대한 미국 측의 오해를 해소시켜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현대ㆍ기아차는 6700여명, 63개 부품업체는 약 2만5000명의 현지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아울러 주 장관은 노동의 생산성과 유연성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사제도의 선진화와 협력적인 노사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역설했다.
이번 1차 회의에서는 산업연구원에서 각계 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자동차산업 '7대 정책 아젠다'를 제안했다.
7대 정책 아젠다에는 △미래 자동차의 경쟁력 강화 △자동차 부품산업의 생태계 혁신과 융합 촉진 △산업발전과 환경ㆍ안전 규제의 조화 △국제수준에 부합한 노사관계 정립 등이 포함됐다.
산업부는 7대 정책 아젠다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자동차산업 발전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한편, 이날 산업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 역량이 부족한 부품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중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800여 개 부품기업에 보급된 스마트공장을 대기업과 협력업체, 정부간 협업을 통해 2020년까지 3배 이상 수준(2500여 개)으로 확대하고, 올해만 자율차 센서 등에 약 1100억 원의 연구개발(R&D)을 집중 지원한다. 또 미래차 분야 400여명의 융합형 인재도 양성할 계획이다.
특히,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ㆍ확산하기 위해 자동차 융합얼라이언스에서 도출된 공동 R&D프로젝트를 올해 본격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