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貨殖具案(화식구안)] 중국시장 공략법을 바꾸라

입력 2017-10-13 10: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 1주일간 학생들과 함께 옛날 중국의 실크로드를 체험하는 소중한 기회를 가졌다. 고대 중국 당(唐)나라의 수도인 시안(西安)에서부터 란저우(蘭州), 우웨이(武威), 장예(張掖), 주취안(酒泉)을 거쳐 명(明)대에 건설한 만리장성의 서쪽 끝인 가욕관(嘉峪關)까지 이르는 꽤 긴 장정이었다.

이 길은 AD 139년 장건(張騫)이 한무제(漢武帝)의 명을 받아 서역으로 떠났다가 흉노에 포로로 잡히는 등 천신만고 끝에 13년 만에 장안으로 돌아오면서 개척된 길이다.

이번 탐방을 통해 느낀 점은, 첫째 중국은 대국이라는 너무나 평범한 사실을 몸으로 재확인했다는 점이고, 둘째는 과거에도 중국은 우리나라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는 점이다. 고대 중국의 한나라는 가장 국력이 강성하던 무제 때 장건의 파견을 통해 흉노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모은 뒤 명장 위청(衛靑)과 곽거병(霍去病)을 앞세워 본격적인 정벌에 나선다.

이때 흉노를 몰아내고 이 지역에 건설한 것이 바로 한사군(漢四郡)인데, 당시 정반대 지역인 동쪽 끝 한반도 접경지역에도 한사군이 설치된다. 한편, 당시 흉노와의 전투 중에 명장 곽거병은 흉노의 태자를 사로잡는데 이분이 김일제(金日磾)라는 사람이다. 이 사람은 흉노 출신답게 말을 잘 다뤄 마감(馬監)이라는 벼슬을 받고, 이후 김(金)이라는 성을 하사받는다.

이 김일제의 후손들이 이후 왕망(王莽)의 난에 연루돼 한반도로 일부가 이주, 신라 김씨의 시조가 됐다는 설이 설득력 있게 전해온다. 이후 당나라로 들어오면서부터는 한반도를 통일한 신라와 당나라와의 교류가 훨씬 빈번해진다. 이와 같은 유구한 역사적 맥락에서 본다면 현재 중국 지도부와 우리나라 간의 사드 갈등은 잠시 스쳐가는 일시적 문제일 뿐, 좋거나 싫거나 두 나라는 서로 교류하고 살 수밖에는 없다는 느낌을 더욱 강하게 받았다.

그러면 앞으로 우리는 중국을 어떻게 활용하여야 할까? 지금까지 우리는 중국을, 우리의 강점인 제조업의 생산기지로만 활용해온 측면이 있다. 또 그간 중국도 우리의 생산기술을 전수받고 부족한 자본을 투자받기 위해 생산시설의 유치를 적극적으로 장려해왔다. 그런데 어느덧 그동안 양국 간 이어지던 원청 및 하청의 상하 관계가 이제는 거의 모든 제품에서 대등한 경쟁관계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대립이 결국 사드 문제의 저변에 깔린 근본 이유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우리는 앞으로 중국을 어떻게 공략해야 할까? 이제는 생산기지가 아닌 소비시장으로 보고 접근하여야 한다. 중국에는 1선 도시(수도나 가장 핵심이 되는 도시)가 4곳, 각 성의 수도인 2선 도시가 약 20여 군데 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잘 알려진 거대도시로만 진출하려 한다는 점이다. 중국의 1선 도시인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선전(深圳) 등의 경우는 이미 모든 물가가 너무 오른 데다 경쟁이 매우 치열해 우리나라 기업들이 진출하여도 성공할 확률이 크지 않다.

그러나 인구 500만 이상인 3선 도시나 또는 인구 100만 이상인 4선 도시의 경우는 얘기가 다르다. 이들 도시는 어지간한 우리나라 기업들이 진출하면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최근 중국 휴대폰 시장에서 브랜드 VIVO나 OPPO로 알려진 BBK 일렉트로닉스라는 회사가 있다. 이 회사는 처음 경쟁을 피해 철저히 3선 도시나 4선 도시를 공략, 인지도를 높인 뒤 1선 및 2선 도시로 진출하는 전략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중국 휴대폰 시장의 절대 강자였던 화웨이나 샤오미를 밀어내고 1위로 올라서기에 이른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상하이나 혹은 베이징만 쳐다보지 말고 시선을 돌려야 한다. 이번 탐방에서 다시금 느낀 점이지만 중국 대륙은 넓고 아직도 기회는 많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