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저점 깨진 원·달러 환율, 1100원 하향돌파 시간문제

입력 2017-11-16 18: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당국 속도조절 나설 듯..내수회복 기여하나 수출엔 부담..엔화 약세도 지켜볼 변수

원·달러 환율이 연저점을 하향 돌파(원화강세)하면서 향후 방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대내외적으로 원화강세를 촉발할 요인들이 즐비하다는 점에서 원·달러 환율 하락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하락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봤다. 그동안 하락속도가 빨랐던데다 외환당국도 속도조절을 위한 개입에 나섰기 때문이다.

◇북 리스크 소강+경기개선+한·加 통화스와프 체결에 미국 세제개편안 불확실 = 1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0.9원(0.98%) 급락한 1101.4원을 기록했다.이는 지난해 9월30일 1101.3원 이후 1년2개월만에 최저치다. 장중에는 1100원이 무너진 1099.6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원·달러 환율은 올 들어 1110.5원을 굳건한 하단으로 인식해 왔다. 실제 이달 7일을 비롯해 올 들어 세 번이나 1110.5원에서 추가 하락이 저지되는 모습을 연출했었다.

원·달러 환율이 이처럼 급락한데는 우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세제개편안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기축통화국 중 하나인 캐나다와의 통화스와프 체결 소식이 전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북한 핵실험으로 불거진 지정학적 리스크와 이에 따른 국가신용도 위협 등 문제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는 점, 수출 호조 등을 기반으로 한 경제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원화 강세의 좀 더 근본적 요인이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대외리스크로 언급됐던 북한 리스크가 잠잠하고 고고도미사일(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보복 문제도 해결 조짐을 보이면서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내부적으로도 성장률 상향조정에 따른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오늘은 캐나다와의 통화스와프 체결이 원화 강세 압력으로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한국은행, 체크)
◇당국 미세조정에 그칠 것 =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의 추가 하락 가능성을 점쳤다. 대내외 환경이 우호적인데다 원·달러 환율이 연저점을 돌파하면서 일부 투기세력까지 가세할 수 있다는 관측이기 때문이다. 당국이 미세조정에 나서겠지만 대놓고 개입하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봤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상수지 흑자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6% 이상에 달한다. 외환 공급측면에서 원화 강세가 지속될 요인이다. 또 외국인 투자비중이 높은 국내 주식시장에 투기세력이 가세할 가능성도 있다. 반면 경상흑자 비중을 낮춰야 하는 당국입장에서는 외환시장 개입도 스무딩오퍼레이션 정도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선 수석연구위원도 “10월 이후 원화 강세 폭이 크다. 당국이 속도조절에 나설 것으로 보여 원·달러 환율이 계속 하락하긴 어려울 것”이면서도 “12월 미 연준 금리인상 보다는 11월 한국은행 금리인상 가능성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는 점에서 원·달러 환율은 연말 1100원을 밑돌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원화강세는 당장 우리 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봤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원화의 상대적 강세가 부담스럽긴 하지만 글로벌 교역사이클이 정상화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며 “내수 경기 회복에도 힘을 더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수출 등에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엔화가 최근 원화와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창선 수석연구위원은 “수출 교역량이 비교적 호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원화강세가 수출에 당장 타격을 줄 것으로는 예상하지 않는다”면서도 “엔화나 유로화 그리고 여타 신흥국 통화대비 원화강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런 현상이 중장기화한다면 수출 경쟁력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김정식 교수도 “시차를 두고 수출이 감소할 수 있다. 또 일본 엔화가 최근 113~114엔까지 오르는 등 원화와 다른 흐름이어서 수출 둔화에 두배의 충격을 줄 수 있다”며 “과거 외환위기나 글로벌금융위기 당시도 이런 흐름이었다는 점에서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