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A 경비대 지휘관들과 차담회…“충돌도 그것이 싸울 수 있는 상황에서 그럴 수 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여러분께 특별히 고마움을 표하고 싶어서 이렇게 모셨다”며 “지난번 귀순 상황 때 아주 정확하고 침착하게 상황관리를 해줘서 더 위험한 상황으로 번지지 않았다”고 격려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저도 예전에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때 미루나무 제거 작전에 참여한 적이 있어서 그쪽 지역이 얼마나 예민하고 위험한 지역인지 잘 알고 있다”며 “충돌도 그것이 싸울 수 있는 상황에서 그럴 수 있다”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권영환 소령과 함께 송승현 상사와 노영수 중사의 구출 작전에 대해 “북한군이 추격하면서 수십 발의 총알을 발사해서 총알이 남쪽으로 넘어오기도 하고, 북한군 한 명은 경계선을 넘기도 하는 긴박한 상황이었는데 지침대로 신속한 판단으로 대응을 잘했다”며 “게다가 상황이 다 끝나지 않은 상황 속에서 정말 생명의 위험을 위협을 무릅쓰고 신속하게 귀순한 북한군을 구출을 해서 목숨도 살릴 수 있었다”고 칭찬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미국과 한국의 군의관이 아주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하고 빠르게 북한 병사를 후송해서 목숨을 구하게 됐다”며 “그런 모습들을 보면서 우리 국민은 군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고, 한미 양국의 굳건한 공조에 대해서도 신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국정 교수에 대해서 문 대통령은 “북한군 그렇게 중상을 입었는데도 목숨을 구하는 기적 같은 일을 해냈다”며 “우리 외상센터가 상당히 인력이나 장비 면에서 열악한데도 실력만큼은 세계최고라는 점을 보여줬다”며 감사 인사를 건넸다.
이어 문 대통령은 옆자리 이 교수의 군복을 바라보며 “이 교수님이 소령이 된 것은 아덴만 작전 때문이었나요”고 묻자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원래 석해균 선장을 구해서 2015년 해군에서 그 이름을 빛냈다고 해서 명예 해군 대위로 임관했다”고 답하며 이후 진급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우리가 보통 실제 상황이 발생하면 민관군이 따로 없다고 생각한다”며 “분명한 것은 우리는 한미동맹이 서류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우리 외상센터를 축으로 해서 주한미군, 2003년부터 해왔다”고 밝혔다.
이날 차담회에는 북한군 귀순병 구조작전에 직접 뛰어든 JSA 경비대대 소속 한국군 대대장 권 중령, 송 상사, 노 중사를 비롯해 군의관인 황구연 대위, JSA 미군 대대장인 매튜 파머 중령, 군의관 제프리 슈미츠 소령, 의무담당관 로버트 하트필드 병장 그리고 이 교수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