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염려스러운 점 두 가지를 짚어보겠다. 첫째는 한국의 창업활동, 특히 청년 창업이 다른 나라에 비해 혁신을 통한 성장형이 아니라 생계형에 집중되어 있는 점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의 2016년 창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9세 이하 청년들의 창업활동은 대학 교육의 전공에 상관없이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업 창업이 62%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장을 받기 위해 투자한 시간적, 인지적, 자금적 투자가 거의 창업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
대학 창업교육의 잘못이 크다.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창의 기업가적 소양을 갖추는 데 한국의 교육이 실질적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을 증명하는 통계이다. 문제를 얕고 쉽게 생각하며 지나치는 트레이닝은 결국 도·소매, 숙박산업 이상의 구상을 힘들게 한다. 사회나 시장의 문제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 실제 모델로 구현해 보는 훈련을 대학 교육이 맡아야, 지속적인 혁신 비즈니스로 글로벌 무대에 우뚝 설 수 있는 혁신 벤처의 탄생이 좀 더 가능해진다.
두 번째는 젊은이들의 벤처 활동과 이를 지원하는 교육과 정책에 장기적 안목이 없는 점이다. 장기적 안목의 부재는 장기 지속력이 없는 벤처를 만든다. 벤처 성공이 투자를 받는 데서 끝나는 게 아니라 한국 시장만이 아닌 세계 시장을 겨냥하는 게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오래 못 버티고 없어지는 벤처활동에 시간과 노력이 버려지면 영구 실업자의 길로 치닫는 지름길이 된다.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으로 커다란 낭비이다.
얼마 전 정부는 ‘혁신창업 국가’를 실현하겠다는 야심찬 비전과 세부 계획을 내놓았다. 한국의 혁신창업 비중(21%)이 선진국뿐 아니라 다른 OECD 국가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며, 우수인력이 창업을 회피하고 대기업이나 공무원 등 안정적인 직장으로만 몰리는 상황을 타파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나왔다. 주요 과제로 기업에 창업휴직제 도입, 벤처확인제 개편, 창업 기업에 대한 조세 감면 확대, 데스밸리 극복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을 도입하기로 했다.
한 가지 고무적인 현상은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이제 우리나라도 벤처를 일궈낸 분들이 초기 자금 투자와 함께 멘토와 네트워크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제공하는 초기 벤처 에코시스템이 꿈틀거리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도 아쉬운 점은 장기적이고 글로벌한 안목 없이 당장의 요구 관리를 위해 디자인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런 노력이 혁신창업 국가 실현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과 코디네이션 없이 추진되는 점은 염려해야 할 부분이다.
혁신창업 국가 실현은 창의적 기업가 육성에 의해 가능하다. 순수 예술이 아닌 비즈니스를 위한 창의성은 후천적으로 길러지는 면이 더 크다. 인재 육성은 새로운 미래를 만드는 기초공사이다. 혁신창업 국가는 사람에 대한 투자 없이 인프라나 금융만으로는 이룰 수 없다. 벤처를 진행하는 인재, 이를 증진하고 키워낼 수 있는 교육, 인프라 구축을 하는 정부 정책이 동시에 필요하다. 이는 서로 물고 물리는 관계이다. 앞으로 이 칼럼을 통하여 세 다리의 문제적 현실과 해결 방향성을 자세히 짚어 나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