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감원에 따르면 A 씨는 얼마 전 ‘02-112’ 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받았다. 상대방은 금융감독원 팀장이라고 소개한 후 A 씨의 이름으로 대포통장이 만들어져 범죄에 사용됐다며 “처벌을 피하려면 범죄에 연루된 피해금을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A 씨는 이틀에 걸쳐 금융회사 3곳에서 정기예금과 보험 9억 원어치를 깼고, 이 돈을 사기범이 알려준 계좌로 보냈다.
A 씨가 거액의 예금계좌를 해지하고 송금하려 하자 수상히 여긴 은행 창구직원이 사연을 물었지만, A 씨는 사기범이 시키는 대로 “친척에게 사업 자금을 보내는 것”이라고 답했다. 결국 9억 원은 사기범에게 송금됐다.
금감원은 “수사기관이나 금감원 직원을 사칭하면 소속, 직위, 이름을 묻고 일단 전화를 끊어야 한다”며 “전화로 정부 기관을 사칭해 자금 이체를 요구하는 경우, 전화·문자로 대출을 권유하는 경우, 특히 저금리 대출을 위한 고금리 대출을 유도하는 경우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네티즌은 보이스피싱은 아무리 똑똑한 사람이라도 당황하다 보면 당할 수 있다며 강력한 처벌과 함께 적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네이버 아이디 ‘kyhs****’는 “보이스피싱 일당은 상대방의 이름 등 정보를 알고 전화를 하다 보니 노인들은 더 속기 쉽다. 대부분 해외에서 전화를 걸어 적발이 쉽지 않은데 통신사는 이런 보이스피싱을 적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강화했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아이디 ‘shar****’은 “하루 이틀도 아니고 보이스피싱은 계속 진화하는데 이를 적발하는 시스템은 제자리. 결국 피해 규모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가 나서서 피해 구제에도 힘써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