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기술 투자 공제, 현실과 괴리” 상의, 문턱 높은 세제 개선 주문

입력 2019-07-01 13: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상의, 조세제도 개선 과제 건의문 정부ㆍ국회에 전달

경제계가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과감한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조세 제도를 개선해달라고 정부와 국회에 요청했다.

특히 미래를 위해 필요한 신성장 기술에 대한 투자 공제는 현실과 동떨어진 요건으로 받기 어려운 한편, 연구개발(R&D) 세액공제율은 5년만에 3분의1로 줄어들면서 기업들이 필요한 세제 혜택은 문턱이 높아지고 폭 역시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일 ‘2019년 조세제도 개선 과제 건의문’을 정부와 국회에 제출했다.

상의는 매년 정부의 세법 개정에 앞서 기업의견을 수렴해 건의하고 있다. 올해 건의문에는 △신성장 시설투자 세제지원 요건 완화, △신성장 R&D 인정범위 확대 △R&D 세액공제율 인상 △생산성향상시설·안전설비 등 설비투자 세제지원제도 일몰 연장 △최대주주 주식 할증평가 제도 개선 △특허 이전·대여 등 기술거래에 대한 과세특례 확대 등을 위한 94개 과제를 담았다.

상의 관계자는 “신산업 발전의 기반인 신성장기술 투자는 세제지원의 요구조건이 까다롭고, 생산성향상과 R&D 투자에 대해서는 세제혜택이 줄어들면서 세제의 투자인센티브 기능이 잘 작동하지 않고 있다”면서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전향적인 세제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선 상의는 신성장기술을 사업화할 때 시설에 투자하는 경우 투자액의 5∼10%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신성장기술 사업화 투자 세제지원제도’의 공제요건 완화를 건의했다. 현재 이 제도는 △매출액 대비 전체 R&D 비중이 2% 이상일 것 △전체 R&D 대비 신성장 R&D 비중이 10% 이상 △세액공제 받은 후 총 고용인원을 2년간 유지할 것 등 3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해 현실적으로 이를 충족하기 어렵다.

상의는 “전체 R&D 대비 신성장 R&D 비율 요건을 현행 10%에서 3%로 완화하고, 고용유지 요건을 전사 기준에서 신사업 부문 기준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건뿐만 아니라 이어 ‘신성장 R&D 세액공제’ 인정범위도 확대해 이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신성장 R&D 세액공제’는 AI, 자율주행차 등 173개 신성장기술에 투자하는 R&D 비용에 대해 일정 비율로 세액을 공제해주는 제도로 일반 R&D 세액공제보다 공제율이 높지만, 실제 이를 신청한 기업은 2017년 224개에 불과하다. 신성장 R&D 전담인력에 한해서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해외기관과의 위탁·연구개발비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의는 일반 R&D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도 확대도 요청했다. 2018년 한국의 일반 R&D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은 대기업 기준 0~2%다. 2013년 최대 6%였지만 2018년 최대 2%로 5년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상의는 “경쟁국인 영국(최대 11%), 일본(최대 14%), 프랑스(연간 1억유로까지 30%, 초과분은 5%)는 일반 R&D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높이는 추세”라며 ”일반 R&D 세액공제율을 당기 발생액 기준의 3∼6%, 증가액의 40%로 상향해줄 것을 제안했다.

또한 상의는 최근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설비투자가 다시 늘어날 수 있도록 설비투자 세액공제율 확대와 일몰 연장을 주문했다.

조세법상 기업이 생산성향상시설, 안전시설, 에너지절약시설, 환경보전시설에 투자시 세액을 일정비율 공제받을 수 있다. 다만, 투자세액공제율은 현재 대기업 1%, 중견기업 3∼5%로 지속 축소됐고, 생산성향상시설과 안전설비는 그마저도 올해 말 일몰될 예정이다.

상의는 올해 말 일몰예정인 생산성향상시설과 안전설비 등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제도를 2021년말까지 연장하고 공제율을 환경보전시설 수준인 대기업 3%, 중견기업 5%, 중소기업 10%로 확대해 줄 것을 건의했다.

원활한 기업승계를 위해 상속세제 개선 건의도 있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인 상속세와 제도개선을 통해 경제활력을 높이고 국가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는 것이다.

상의는 현행 10~30%인 최대주주 주식 할증률을 완화하되 일본처럼 업종과 기업 규모별로 다양하게 적용토록 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또한 사후관리기간 대폭 축소와 자산·고용의 관리부담 대폭 완화, 그리고 업종 제한 철폐 등을 건의했다.

이외에도 지식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특허 등 기술이전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세제 개선 등도 주문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기업정책팀장은 “신성장, R&D 투자는 제조업 르네상스와 한국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해 중요한 과제”라면서 “기업의 활용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현행 지원요건은 기업 현장에 맞게 유연하게 재조정 해야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