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에 한국 농업 심는다⑥] 젊은 층 모으는 농업, 수출전문단지가 해법

입력 2019-12-16 13:52수정 2019-12-16 14: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꾸준한 수출이 국내 농산물 수급조절도 가능"

▲창락농산이 수출하는 딸기를 재배 중인 하우스. (사진제공=창락농산)
"젊은 직원들을 뽑기 위해 대도시에 사무실을 하나 만들어야 하나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하지만 농산물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직접 보고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현지에서 근무하는 것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농촌 인구 231만5000명 가운데 노인은 103만5000명이다. 절반에 가까운 농촌 인구가 노인으로 고령화율은 44.7%에 달한다. 1965년 3.2%였던 고령화율은 1999년 20%, 2006년 30%를 넘어섰고, 2016년 40% 선을 돌파했다.

청년들이 농촌을 외면하는 이유에 대해 나영호 창락농산 대표는 결국 소득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농가 소득을 안정적으로 높여줄 방안은 결국 수출이라고 제시했다.

나 대표는 "우리나라 농산물 중에서 딸기가 소득 1~2위를 차지할 만큼 고소득을 보장하고, 시설작물, 시설재배로 이뤄지기 때문에 접근성도 높다"며 "특히 봄까지 소비가 꾸준한 수출로 눈을 돌리면 더욱 안정적인 소득원이 되는데, 이런 것들을 홍보하면 젊은 층의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창락농산은 연 매출 1400만 달러가 넘는 농산물 대표 수출업체지만 여전히 젊은 일꾼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나 대표는 "농업은 제조업과 유통업, 그리고 무역업까지 함께 하는 흥미로운 업종이지만 잘 몰라서 막연하게 거부감을 가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주 여건을 위해 대도시에 사무실을 내야 하나 고민도 했지만 농업을 잘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직접 보고 느껴야 한다는 생각을 고집하기로 했다.

그는 "직접 해보지 않으면 농산물을 팔 수가 없다"며 "현지 바이어를 설득할 수 있어야 소비자도 설득할 수 있고, 내가 생산한 농산물에 확신하려면 산지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의 대안으로 그는 수출전문단지를 제시했다. 농업도 단순히 내수만 바라보고 있을 것이 아니라 수출과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수출은 국내 농산물의 수급안정과도 직결된다. 실제로 올해 양파 풍작에 따른 수급 안정도 결국 수출로 해결했다.

노 대표는 "올해 양파 파동을 겪으면서 4만 톤 이상을 수출해 겨우 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었다"며 "기존처럼 국내 가격이 싸면 수출하고 비싸면 내수에 판다는 생각이 아닌 꾸준한 수출 루트를 만들어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올해 양파 파동 이후 전남 무안과 경남 함양을 양파 전문생산단지(수출단지)로 지정해 수출 기반 마련에 나섰다. 이 같은 수출단지 조성은 젊은 인구의 유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노 대표는 "수출전문단지 조성으로 농업에 종사하면서 수출에도 나서는 자부심도 생기고, 정주 여건도 지금보다 나아지면 젊은 층이 농업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도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