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14일 경제총리, 책임총리의 포부를 드러냈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경제의 활력을 높이겠다”며 경제 총리로서의 계획을 밝혔다.
정 총리는 “경제를 살리는 힘은 기업으로부터 나온다. 기업이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가 먼저 혁신하겠다. 신산업에 대한 사후규제 도입과 같은 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해 불확실성을 줄이고, 기업가정신을 고양하는데 정부의 사활을 걸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정부는 혁신성장에 전력투구하여 경제 활력의 마중물이 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대한민국이 처한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평가를 바탕으로 국정 전반을 재점검하고, 미래를 위한 준비에 매진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저성장, 저고용으로 상징되는 뉴노멀 시대와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물결 속에서 심화된 불평등을 해소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잘해오고 있는 부문은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가는 동시에 AI, 빅데이터 등 미래산업을 제대로 준비하는 노력이 매우 절실하다”고 말했다.
‘경제통’으로도 정평난 ‘경제 총리’ 적임이라는 평가에 어울리게 취임사의 상당을 경제에 할애했다. 정 총리는 17년간 샐러리맨 생활에서 실물경제 현장을 경험한 데다 노무현 정부 때 산업자원부 장관을 지내는 등 부처 통솔 및 현장 경험도 풍부하다.
그는 과거 낙수경제의 반대 개념인 ‘분수경제’를 주창하기도 했다. 분수경제는 상위 1% 부자 중심의 경제론을 뒤바꿔 서민과 중산층을 먼저 잘 살게 만들고, 그 과실이 분수처럼 위로 솟구쳐 경제 전체의 성장을 이끈다는 개념으로 문재인 정부의 경제기조와도 궤를 같이한다.
정 총리는 통합의 중요성도 피력했다. 그는 “진정성 있는 소통과 협치로 사회통합을 이뤄내겠다”며 “정부와 시장, 시민사회가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우며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첨예한 갈등 사안에 대한 국민 의견을 경청하고, 국회와는 소통을 넘어 실질적인 협치를 이뤄나가겠다”고 밝혔다.
공정한 사회에 대한 소신도 드러냈다. 그는 “혼자 빨리 가는 특권보다는 조금 느리더라도 함께 가는 공정이 더 멀리 가는 힘이고 지혜”라며 “사회 각 분야의 불공정을 개선하고, 보다 튼튼한 사회 안전망 확충으로 불평등과 양극화 해소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 “교통·산재·자살 등 3대 요인의 사망자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지진과 산불, 태풍과 미세먼지를 비롯한 자연·환경 재난에 대한 안전도 더 강화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책임 총리로서 공직자들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그는 “내가 먼저 혁신하자”며 “우리 공직자가 끊임없이 공부하면서 전문성을 키우고, 부처 간 벽을 허무는 협업의 역량도 갖춰야 한다. 모든 공직자가 빠르게 진행 중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딤돌이 돼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소통과 적극행정에 대해서도 주문했다. 정 총리는 “공직자는 늘 국민 속에 있어야 하며 진정성 있는 소통과 협치의 해법은 현장에 있다”며 “공직사회의 울타리를 넘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소통행정을 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일하다 접시를 깨는 일은 인정할 수 있어도, 일하지 않아 접시에 먼지가 끼는 것은 용인할 수 없다”며 “국민을 위한 소신행정은 총리가 책임을 지고 지켜 드리겠다”고 약속했다.
총리 지명 직전 문재인 대통령에게 “책임 총리를 보장해 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알려진 만큼 문 정부 하반기 국정 운영을 주도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 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정 총리의 “21대 총선이 끝난 뒤 제(諸) 정당이 참여할 수 있는 협치 내각 구성을 문 대통령께 적극 건의드릴 생각”이란 발언은 총리로서 국정 운영에 책임을 지겠단 뜻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대한민국에 대한 마지막 봉사라는 각오로 희생하고 헌신하겠다”며 “총리로서 헌법과 법률이 부여한 책임을 다하는데 모든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