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형의 오토 인사이드] 하늘을 나는 자동차 골라볼까

입력 2020-02-03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벤츠는 시장 선진출, 아우디는 콘셉트 돋보여…속도와 항속거리는 현대차가 우세

전 세계 항공사가 보유한 비행기는 약 2만5000대다. 보잉이 가장 많이 만들고 공장도 크다. 그런데 737기종을 기준으로 매달 60대 정도 생산하는 게 전부다.

현재 항공업은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다. 이와 비교해 자동차 산업은 항공기 못지않은 높은 기술력을 지녔는데 생산 볼륨은 연간 무려 9000만 대 수준이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 구현을 위한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의 사활을 걸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UAM의 근간은 개인용 비행체 ‘PAV(Personal Air Vehicle)’다. 프로펠러를 장착하고 활주 없이 수직으로 이착륙하는 비행체다. 전문가들은 PAV 시장이 활성화되면 항공업과 자동차산업의 중간쯤에 자리를 잡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마디로 PAV 시대가 본격화되면 보잉과 에어버스 등 항공기 제작사보다 현대차 또는 토요타처럼 대규모 양산 능력을 갖춘 회사가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 생산과 판매, AS망까지 자동차 회사가 유리하다.

우리가 자동차를 고르듯, 주요 완성차 메이커들이 내세우는 PAV를 고를 수 있는 날도 머지않았다는 뜻이다. 아직까지는 콘셉트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글로벌 차 회사들이 내놓고 있는 도심 이동용 비행체의 세계를 알아보자.

▲독일 메르세데스-벤츠가 투자한 볼로콥터는 지난해 2세대 콘셉트 '볼로시티'를 선보였다. 지금 당장 이용해도 모자람이 없을 만큼 양산형에 가까운 게 특징이다. (출처=뉴스프레스UK)

◇PAV 선구자 메르세데스-벤츠 볼로콥터=벤츠는 차 회사 가운데 비교적 이 분야에 가장 먼저 뛰어들었다.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0’ 현장에서 현대차그룹의 도심 항공 모빌리티 전략을 예의 주시한 이유이기도 하다. 칼레니우스 다임러 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시기상조”라며 경계의 시선을 보내 주목을 받았다. 다임러가 선점했다고 생각하는 분야에서 현대차가 전략적으로 출사표를 던졌기 때문이다.

앞서 메르세데스-벤츠는 2017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를 통해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수직이착륙 비행체 콘셉트를 공개한 바 있다.

2년여 만인 지난해 가을에는 더욱 현실적인, 지금 당장 ‘에어 택시’로 써도 모자람이 없을 만큼 진화한 2세대 콘셉트 ‘볼로시티(VoloCity)’를 선보이기도 했다.

2인승을 기준으로 최고시속 110㎞로 비행할 수 있다. 아직 비행거리는 35㎞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향후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세대 콘셉트였던 볼로콥터보다 로터(헬리콥터의 날개)의 크기를 줄여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아우디와 에어버스가 개발한 '팝업 넥스트'는 가장 진보한 아이디어로 추앙받는다. 비행할 때는 1번과 2번이 결합하고, 땅에 내려오면 2번과 3번이 결합한다. 1번과 3번은 공유 개념을 지니는 것은 물론 두 가지 모두 전기모터가 동력원이다. (출처=뉴스프레스UK)

◇가장 이상적인 ‘아우디 에어버스’ 협작품 ‘팝업 넥스트’=‘하늘을 나는 자동차’라는 명제에 가장 근접한 콘셉트가 아우디의 ‘팝업 넥스트(Popup Next)’이다.

일단 구성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먼저 △하늘을 날아오를 때 필요한 4개의 전기 로터 △승객석(2인승) △4개의 바퀴를 달린 전기차 베이스 플랫폼이 맞물린다.

비행할 때는 최상단 4개의 로터와 승객석이 합체한다. 70kWh 용량의 배터리와 결합해 1회 충전으로 50㎞를 날 수 있으며, 최고속도는 120㎞/h에 달한다.

땅에 내려와서는 4개의 바퀴가 달린 전기차 플랫폼과 연결된다. 이때 “도로 위에서 저렇게 거추장스럽고 커다란 프로펠러를 장착하고 어떻게 달릴 수 있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걱정하지 마시라. 비행을 마친 후 도로를 달릴 때에는 승객석 지붕에 달린 4개의 로터를 따로 떼어낼 수 있다.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떼지 않아도 된다. 스스로 분리하고 드론처럼 자율비행해 격납고를 찾아간다.

4개의 바퀴가 달린 베이스 플랫폼은 ‘공유 시스템’을 활용하면 된다. 필요할 때마다 하늘에서 내려와 택시를 잡아타듯, 전기차 베이스 이동 플랫폼을 불러서 그 위에 내려앉으면 된다.

아우디와 에어버스가 개발하고 이탈디자인이 디자인했다.

▲일본 토요타도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겨냥 중이다. CES 2020 폐막 직후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에 약 4500억 원의 투자를 단행했다. (출처=토요타미디어)

CES 2020 폐막 직후 토요타도 도심 항공 모빌리티 콘셉트를 공개했다.

토요타가 직접 개발했다기보다 전동식 수직이착륙 비행체를 개발 중인 미국의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고 밝혔다. 3억9400만 달러(약 4570억 원)에 달하는 비용도 주저 없이 내놨다.

이를 통해 토요타는 자동차 개발과 생산, 애프터서비스의 역량을 활용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앞으로 토요타와 조비 에비에이션은 전동식 수직이착륙 비행체 생산기술과 전동화 노하우 등을 공유한다. 2023년 기체 시험양산도 점쳐진다.

토요타의 도요타 아키오 사장은 성명을 통해 토요타를 자동차 업체로부터 모빌리티(이동수단) 업체로 변모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와 목적 기반 모빌리티, 나아가 이 두 가지를 연결하는 허브 콘셉트를 공개했다. (사진제공=현대차)

◇제원상 가장 진보한 현대차 S-A1=현대차는 이번 CES 2020을 통해 거시전략을 내놔 눈길을 끌었다.

단순하게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넘어서 이를 지상 교통수단과 연결하는 개념까지 소개했다.

현대차 S-A1은 최고시속 290㎞, 1회 최대 비행거리는 약 100㎞에 달한다. 1회 비행 후 약 5분간 전기를 충전하고 다시 비행할 수 있다. 비행고도는 300~600m로 설정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