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확진환자 급증, 검사량 확대 영향…무증상·경증 환자 발굴에 총력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환자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배경 중 하나로는 진단검사 물량 확대가 꼽힌다. 하루 6000~7000명을 검사하다 보니 증상이 없거나 미미한 환자도 모두 확진환자로 분류되는 상황이다. 누적 검사인원은 27일 현재까지 4만 명을 넘는다. 반면 24일(싱가포르 25일) 기준으로 주요국의 코로나19 진단검사 인원은 미국 426명, 일본 1017명, 싱가포르 1364명에 불과하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보다 검사를 시행하는 건수가 굉장히 많다”며 “그것은 초기증상, 경증자부터 조금이라도 역학적인 연관성이 의심되는 사례들에 대해 굉장히 적극적으로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환자를 찾는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 노력으로 (확진환자는 급증했지만) 집단 발병으로 이어지지 않게끔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미도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방역·진료 역량은 치명률(확진환자 대비 사망자 비율)을 보면 두드러진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으로 한국에선 확진환자 1766명 중 13명이 숨졌지만, 이탈리아에선 400명 중 12명, 이란에선 139명 중 19명이 각각 숨졌다. 치명률은 한국이 0.74%, 이탈리아는 3.0%, 이란은 13.67%다. 고령·기저질환 환자 비중이 큰 청도 대남병원 사례를 배제하면 한국의 코로나19 치명률은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진다.
한국의 치명률이 현저히 낮다는 건 진료 역량이 뛰어나 환자들의 상태가 중증으로 이어지지 않거나, 한국이 이탈리아나 이란보다 ‘숨은 감염원’을 잘 찾아내고 있다는 의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2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존스홉킨스대학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한국을 감염병 대응을 잘하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25일 미국의 코로나19 확진환자가 적은 것은 진단검사가 적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이 3만5000여 건의 검사를 시행한 동안, 미국에선 일본 크루즈선 승객을 제외하고 426건만 시행했다. 전날 시사 주간지 타임은 한국에서 확진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난 이유를 높은 진단 역량과 한국 사회의 개방성·투명성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단 현장의 노력에도 방역대책 컨트롤타워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의 대응은 여전히 정치 논리에서 못 벗어나고 있다. 여론에 등 떠밀려 뒤늦게 감염병 위기경보를 격상하고, 마스크 수출을 통제했으며, 입국 제한지역(중국 후베이성) 확대와 관련해선 ‘추가 확대는 없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