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형의 오토 인사이드] 코로나19 쇼크…비접촉(Touchless) 제어방식 확산

입력 2020-03-02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바이러스 감염증에 '카셰어링' 발목…손 안 대고 제어하는 모션ㆍ음성명령 확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 중인 가운데 차량공유, 이른바 ‘카셰어링’ 시장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바이러스 대부분이 사람과 사람의 접촉으로 인해 옮겨진다. 코로나19의 경우 확진자와 같은 엘리베이터에 탔거나, 한 차에 동승했던 이들이 비말접촉 등을 통해 확진 판정을 받기도 했다.

대중교통을 통해 감염이 퍼지거나, 수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단 행사가 확산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특정할 수 없는 다수의 사람이 이용했던 공유 자동차를, 별다른 방역 없이 자신이 이용하는 경우도 생긴다. 시간제 차량공유 서비스 탓에 '감염증’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의 출발점이다.

▲지문을 이용해 도어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기술은 이미 보편화됐다. 앞으로 운전자의 모션을 인식해 문을 열어주는 방식도 나온다. 이른바 '비접촉' 제어 방식 가운데 하나다. (사진제공=현대차)

◇카셰어링 발목 잡을 신종 바이러스=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카셰어링 신중론’을 제시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2018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에 참석한 정 부회장은 “카셰어링의 경우 반드시 ‘위생’이 전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격적인 ‘차량공유’시대를 앞두고 “위생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달려있다”며 맹목적인 긍정여론에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그는 “전 세계에 전염병이 돌게 되면 그 파장이 어떻게 될지 모른다”며 “우리가 그 비즈니스(카셰어링)를 하게 되면 정말 위생적으로 할 것이다”고 말했다.

만약 공기전파(에어로졸)로 전염되는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하게 되면 미래차 사업 가운데 하나인 '카셰어링'은 확산 매개체로 지목될 수 있다.

카셰어링은 하루 단위로 대여하는 렌터카와 달리, 상대적으로 대여 시간이 짧고 비용도 합리적이다. 때문에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한 대의 자동차를 짧은 시간에 여러 사람이 줄지어 타다 보니 요즘처럼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하면 이용이 꺼려진다.

나아가 수령과 반납장소가 자유롭다는 점도 장점에서 이런 시국에는 단점으로 돌변한다. 렌터카처럼 반납 이후 청소 및 위생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때가 많기 때문이다. 자칫 자동차 공유를 넘어 '바이러스'까지 공유할 수도 있다.

▲호흡기 감염증이 확산하자 '카셰어링'으로 불리는 차량공유 서비스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다른 운전자가 이용했던 공유차를, 또 다른 이용자가 별다른 소독과 위생작업 없이 뒤이어 사용하면 감염증 확산의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 (출처=뉴스프레스UK)

◇자동차에 비접촉 생체 인식 기술 확대=결국 다른 차를 타더라도 최대한 생체 접촉을 줄이는 방법이 대안으로 떠오른다. 실제로 효과를 내고 있기도 한다.

예컨대 자율주행 시스템이 발달하면 운전자의 신체가 자동차와 접촉하는 기회가 크게 줄어든다.

미국 자동차 공학회가 제기한 자율주행 단계는 총 5단계다. 현재 국산 양산차들이 보유한 기술은 레벨 2~2.5 수준. 올해는 일정 구간에서 자율주행 레벨3 시험운행도 준비 중이다.

레벨 5단계 자율주행차는 애초부터 차에 스티어링 휠(운전대)이 달리지 않다. 내비게이션으로 목적지만 설정하면 차가 알아서 이동한다.

자동차의 소유자가 존재할 뿐, 목적지를 설정한 이후에는 사람의 의도가 자동차의 움직임에 관여할 수 없어서 ‘운전자’라는 개념이 사라질 수도 있다.

문제는 이 시대가 도래할 때까지 우리는 자동차를 움직이기 위해 다양한 조작기기와 접촉하며 살아야 한다.

▲자동차 실내에서는 음성과 함께 모션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출처=뉴스프레스UK)

◇차에 타기 전에는 모션으로 운전자 구분=이런 이유로 비접촉(Touch less) 제어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커넥티드카 분야 가운데 하나로 상당 부분 상용화돼 있다.

먼저 도어를 여는 방식부터 달라지고 있다. 이제 자동차에 근접해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문을 여는 동작까지 차가 알아서 해준다.

리모컨 접근을 인식하는 것은 물론, 이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알아보고 차 문을 열어주는 기술도 나왔다. 사람마다 고유한 신체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생체인식 기술은 지문이다. 효율성이 높지만 이 역시 차와 사람의 접촉이 필요하다.

안면과 홍채 인식도 효과가 크지만 도어 잠글 장치를 해제할 때마다 센서에 얼굴을 들이밀어야 한다는 게 걸림돌이다.

최근에는 운전자의 신체 특징과 패턴을 분석하는 수준까지 도달했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운전자의 걸음걸이까지 인식하는 방식이다.

차 주변에 달린 여러 대의 카메라가 접근하는 운전자의 키와 신체 특징 등을 파악한다. 무엇보다 걸음걸이의 특징을 구분한다.

정확도가 꽤 높아 후천적으로 걸음걸이가 달라진 ‘일란성 쌍둥이’까지 구별하고 있다. 이 역시 조만간 이중 보안장치 형태로 상용화될 예정이다.

▲음성명령 시스템은 이제 안정화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음성명령을 효율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다양한 음향장비도 개발 중이다. (출처=미디어BMW그룹AG)

◇차에 탄 뒤에는 손 대지 않고 음성으로 명령=차에 올라탄 이후에는 모션과 음성으로 다양한 비접촉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다만 모션 인식의 경우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불필요한 동작 탓에 사고 위험성을 키울 수 있다.

결국 안전하고 빠른 제어를 위해 음성인식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오디오 음량과 송풍구 바람세기 등은 이미 음성으로 조작할 수 있다. 과거에는 단어 위주로 인식됐으나 이제는 제법 복잡한 구문과 문장까지 이해한다.

다만 외부 소음이 크거나 자동차의 음성 안내 등이 겹치는 등 일부 환경에서 사용자의 말을 못 알아들을 가능성도 있다.

▲굳이 리모컨을 꺼내들지 않아도, 차 주변의 카메라가 운전자의 걸음걸이까지 인식해 스스로 차 문을 열어주기도 한다. (출처=뉴스프레스UK)

이런 음성 명령은 무엇보다 ‘안전’이 전제돼야 한다.

예컨대 음성을 잘못 인식해 오작동이 일어나기라도 자칫 위험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양산된 음성 명령 시스템들이 차의 움직임보다 편의 장비의 작동에 국한된 것도 이런 이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음성인식 장치 스스로 운전자의 발음과 억양을 학습하는 장치도 개발 중이다.

단순하게 음성을 인식해 편의 장비를 움직이는 게 아니라 설정된 특정 운전자의 목소리만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도 양산을 앞두고 있다. 차가 운전자의 목소리를 기억하는 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