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별 신용등급 편차 커, 농협은행이 500억 원으로 하나은행보다 10배 많아
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3일까지 신한ㆍKB국민ㆍ하나ㆍ우리ㆍ 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에서 집행된 초저금리 이차보전 대출 승인액은 1259억 원으로 집계됐다.
시중은행은 이달부터 소상공인진흥공단(소상공단)과 기업은행이 해오던 연 1.5% 초저금리 대출을 취급하고 있다. 3조5000억 원 규모로 대상자는 고신용등급(1~3등급) 소상공인 약 12만 명이다
은행별로 농협은행이 500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380억 원), 우리은행(166억 원), 국민은행(160억 원) 순이었다. 하나은행이 53억 원으로 가장 적었다. 농협은행의 10분의 1 수준이었다.
은행별 대출 규모 차이는 신용평가(CB)사의 신용등급을 활용하는 소상공단(기업은행 포함)과 달리 별도의 대출 대상 등급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은 고신용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출 신청을 받고 있다. 통상 나이스신용평가나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등 CB사의 신용등급이 1∼3등급(전체 10개)인 경우 고신용자로 간주된다. 하지만 은행들은 별도로 대출 대상 등급을 정해놓고 있다.
국민은행은 자체 등급 기준으로 1∼3등급(전체 13개), 우리은행도 자체 등급 기준으로 1∼3등급(전체 10개), 신한은행은 자체 등급이 BBB+ 이상(전체 21개 중 8등급 이상으로 대출 대상을 설정했다. 하나은행과 농협은행은 신용평가(CB)사의 신용등급이 1∼3등급이면서 자체 신용등급이 1∼5등급(전체 10개)인 경우 초저금리 대출을 내준다.
은행들은 CB사의 신용등급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인 신용평가모델로 고객의 신용등급을 산정한다. 각 사마다 자체 급여계좌를 개설했는지 등 이용거래 실적이 많으면 가점을 주는 경향이 있다. CB 등급이 3등급이라도 주거래은행에서는 2등급을 받을 수 있고 다른 은행에서는 4등급을 받을 수 있다.
일각에선 은행들의 대출 기준이 너무 높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실제로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대출 대상을 자체 1∼3등급으로 삼았다. 이는 주로 자행과 거래하는 고신용자에게만 초저금리 대출을 해주겠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향후 부실문제를 방지하기위해 대출 기준을 강화한 측면도 없지 않다"며 "금융당국에서 과실책임을 최소화하겠다는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방벙도 해결책이 될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