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47만6000명 줄고 일시휴직자 113만 명 급증…채용절벽에 구직자는 비경제활동인구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일자리 피해는 취업자 감소에 그치지 않는다. 사업장의 조업 단축·중단으로 휴직한 취업자, 채용 연기·취소로 취업에 실패한 구직자도 직간접적인 피해자다. 코로나19 확산 전까지 고용시장이 회복세였던 점을 고려하면, 휴직자와 취업 실패자 등을 포함한 전체 피해 규모는 200만 명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전년 동월보다 47만6000명 줄었다. 취업자 감소는 주로 취약계층에 집중됐다. 산업별로 숙박·음식점에서 21만2000명, 도·소매업에서 12만3000명 줄었고, 직업별로는 판매종사자가 13만2000명, 서비스종사자는 11만 명 감소했다. 이들은 임시·일용직 등 비정규직 비중이 큰 대표적인 산업·직종이다. 임시·일용직은 4월 78만3000명 줄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로 외부활동과 대면거래가 급감한 탓이다. 기저효과로 올 들어 회복세를 보이던 제조업도 3월부터 다시 감소세로 전환됐다.
단 취업자 증감으로 확인할 수 있는 코로나19 영향은 제한적이다. 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취업자 감소는 일자리의 수만 따지는 것이니, 실제로 얼마나 영향이 있었는지 보려면 일시휴직자, 취업시간 등도 모두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취업시간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전년 동월보다 651만3000명 급감했다. 단순 증감으로만 보면 감소분 중 490만6000명은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으로 이동했고, 113만 명은 일시휴직자가 됐다. 출입국 제한으로 항공·호텔업계의 경영여건이 악화하고 초·중고교 등교개학 등이 미뤄져서다. 글로벌 수요 위축으로 수출이 급감하면서 제조업도 타격을 입고 있다.
다만 근로시간이 감소한 651만3000명을 전부 피해자로 보긴 어렵다. 코로나19와 별개로 근로시간은 추세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코로나19로 근로시간이 줄었어도 임금이 줄었다고 단정할 수 없어서다. 취업자별 근로시간이 얼마나 줄었는지 집계가 안 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일시휴직자 증가분 113만 명 정도만 코로나19로 피해를 봤다고 특정할 수 있다.
여기에 고용시장 개선세를 고려하면 취업이 가능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채용이 연기·취소되면서 비경제활동 상태를 벗어나지 못한 인구도 있다. 대표적으로 구직단념자가 12만4000명, 취업준비자는 9만5000명 늘었다.
물론, 이들이 모두 코로나19 영향을 받았다고 보긴 어렵다. 취업자 감소분과 중복 집계될 수 있고, 코로나19 등 특수한 상황이 없어도 비경제황동인구의 활동상태는 매달 변동이 있어서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구직단념자와 취업준비자는 평소에도 증감을 반복했다”며 “추세적으로 볼 때 증가 폭이 비정상적으로 크게 확대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취업 실패자는 기존 취업자 증감 추이로 유추해볼 수 있다. 올해 2월까지 취업자 증감은 기저효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올 들어선 1월 취업자 증가 폭이 56만8000명까지 확대됐고, 2월에는 49만2000명으로 다소 축소됐다. 지난해 1·2월 취업자 증가 폭은 각각 1만9000명, 26만3000명이었다. 4월은 지난해 증가 폭이 17만1000명에 불과했다. 2월보다 기저효과가 크단 의미다. 1·2월 추세가 유지됐다면 올해 4월 취업자 증가는 50만 명을 웃돌았을 것으로 보인다.
취업자 감소분과 일시휴직자 증가분, 코로나19 사태가 없었다면 기대됐을 취업자 증가분을 모두 더하면 220만 명을 넘는다.
그나마 일시휴직자 증가 폭은 5월부터 다소 완화할 전망이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향후 이 부분은 지켜봐야 한다”며 “5월 이후로는 교육서비스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기관·시설 운영이) 재개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