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 경제 중대본 회의 개최…피해업종 추가지원방안도 논의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대한민국 동행세일은 하반기 예정된 대표적 세일행사인 ‘코리아세일페스타(코세페)’에 버금가는 상반기 처음 개최하는 대대적 특별할인행사로 다음 달 26일부터 7월 12일까지 2주간에 걸쳐 개최된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대한민국 동행세일 추진계획안’을 안건으로 상정하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이 동행세일 행사는 그동안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이동제한, 매출감소, 판로애로 등 피해의 직격탄을 맞은 대·중소 유통업체,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소비 진작을 위한 소비 활성화의 장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이 상생형 소비붐업 행사는 서울 남대문을 중심으로 전국 지자체 내 여러 지역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될 계획이며, 철저한 방역을 전제로 한 안전행사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행사기간 특별할인전, 온라인 할인, 할인쿠폰 제공, 지역사랑상품권 증정 등 최대한의 인센티브가 제공되도록 할 것”이라며 “또한 한식당 할인행사인 코리아고메 행사 등을 통한 외식과 소비의 연결, 특별여행주간(20일~7월 19일) 각종 관광프로그램을 통한 관광과 소비의 연결 등도 각별히 준비해 소비촉진 모멘텀이 최대한 형성되도록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자동차부품업, 조선업 등 피해업종 추가지원방안’과 관련해 “우선 자동차부품산업의 경우, 완성차업계·정부·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힘을 모아 5000억 원 규모의 ‘상생특별보증’을 신설·공급한다”며 “우수한 기술력이 있거나 완성차와의 납품계약 실적 등이 있지만 신용도가 낮거나 대출·보증한도 소진으로 지원받지 못하는 중소·중견 부품업체에 유동성을 지원해 자동차산업 생태계를 보호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공공부문의 업무용 차량 구매를 3분기 이내로 앞당기고, 전기화물차 지원규모도 1만1000대로 2배 확대한다.
중형조선산업에 대해선 필수소요를 중심으로 30척 규모 선에서 노후 관공선의 친환경선박 조기교체, 해경함정 등의 연내 조기발주 등을 추진하고, 코로나19로 선박인도가 지연되는 경우 실제 선박 인도 시까지 제작금융의 만기를 연장조치한다. 글로벌 수요급감으로 업황이 크게 악화된 섬유·의류산업에는 공공부문의 경찰복·소방복 등 의류 구매예산을 최대한 조기 집행해 수요를 보완하고, 중소기업진흥공단 융자·기보 보증 만기연장 등 유동성을 추가 지원한다.
이 밖에 오프라인 전시회가 대부분 취소된 전시업계에 대해선 연기된 전시회 부스 참가비를 업체당 60만 원씩 지원하고, 전시포털을 통한 홍보마케팅 지원, 동행세일행사시 지역 전시시설 활용 개최 등을 통해 전시산업 활성화의 계기를 제공한다. 스포츠업계에 대해 융자를 200억 원 확대하고, 실내 체육시설 이용료를 1인당 3만 원씩 총 40만 명분을 지원한다. 국제 경기대회 방역비 지원과 함께 비대면 스포츠 코칭시장 창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한 가지 덧붙임이면 업종대책도 대부분이 융자·대출 등 금융지원문제인 것처럼 현장을 가보면 많은 분이 이 어려운 시기 유동성 문제를 가장 많이 제기한다”며 “정부가 135조 원+알파(α) 대책을 세웠고 금융권이 만기연장, 추가 대출 등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기여해 준 데 대해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을 전한다”고 말했다.
한편, 홍 부총리는 “그동안 정부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하경정)과 3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조만간 그 내용들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번 하경정에서는 내수진작대책, 투자 활성화, 한국판 뉴딜 포함 ‘포스트 코로나’ 대응 등에 역점을 두고자 했다”고 밝혔다.
이어 “수출의 경우 최근 국가 간 봉쇄조치 완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국제교역 여건이 매우 어려워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서는 어려운 수출상황을 타개할 돌파구 마련이 시급하다”며 “정부는 하경정 대책의 일환으로 수출력 회복을 위한 비대면 마케팅 지원, K방역 수출 등을 포함하는 ‘수출활력 제고방안’을 조만간 마련하겠으며, 급감한 해외 수출수요를 보완하기 위한 ‘해외수주 확대방안’과 해외 진출기업 국내 복귀를 획기적으로 도울 기업유턴 활성화 방안‘을 7월까지 마련해 하반기에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