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행권, '점포폐쇄' 두고 동상이몽
금융감독원과 은행권이 은행점포 폐쇄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금감원은 시중은행 담당자를 불러 속도조절을 주문하고, 대체점포를 대안으로 소개하는 등 점포폐쇄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연일 내비치고 있다. 반면, 은행권은 대체점포는 비용 부담이 생기는 데다 고객 정보를 공유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시큰둥한 반응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 은행감독국은 지난 24일에 시중은행 점포담당 임원을 불러 회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선 지난해 6월부터 은행연합회와 마련한 '은행권 점포 폐쇄 공동절차'를 잘 지키고 있는지 현황보고를 받았다. 앞서 윤석헌 금감원장이 "단기간 급격한 점포수 감축이 우려된다"고 표명한 데 대한 업계의 의견을 듣는 차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비대면채널을 강화하고 있는 현 상황은 이해하지만, 코로나를 이유로 단기간에 과도한 점포폐쇄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금감원의 점포폐쇄에 대한 압박은 거듭되고 있다. 전날 윤 원장은 정무위 업무보고에서 "최근 은행 점포가 빠른 속도로 폐쇄되고 있는데 걱정”이라면서 "은행연합회와 연합으로 대체 점포를 소개하거나 폰을 통한 인터넷 뱅킹 등이 확산할 수 있도록 은행권이 취약계층에 (모바일 금융앱) 교육을 하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정작 은행권은 답답한 표정이다. 윤 원장이 점포폐쇄의 대안으로 언급한 대체점포는 실효성이 낮고, '업무대행수수료'를 지급해야 하는 부담도 생기기 때문이다. 현재 우체국은 한국씨티은행, 기업은행, 산업은행, 전북은행, 하나은행과 제휴를 맺고 있다. 하나은행은 우체국 현금자동입출금기(ATM)만 이용하고, 나머지 은행들은 우체국 창구를 통해 입출금과 잔액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점포 수가 적은 지방은행, 국책은행을 제외하곤 활용도가 낮은 상황이다.
대체점포를 활성화한다 해도 고객 정보를 공유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대체점포에서는 입출금 등 기본적인 서비스만 제공해 고객정보가 오가지 않지만, 보다 활성화되려면 고객정보도 넘겨야하는 문제도 생기게 된다"고 말했다. 단위농협 등 상호금융권 점포 이용도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영업을 위해 정보를 공유하다 보면 고객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또 문제가 생길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