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구 사업·근로·재산소득 동반감소…재난지원금으로 버텼다

입력 2020-08-20 12:00수정 2020-08-20 13: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계청 '2분기 가계동향'…공적이전소득 127.9% 급증

▲통계청 '2분기 가계동향' 주요 내용. (자료=통계청)

전국 2인 이상 가구(농어가 제외)의 2분기 사업·근로·재산소득이 동반 감소했다. 그나마 긴급재난지원금 효과로 총소득은 전년 동기보다 4.8% 늘었다.

통계청은 20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에서 2분기 월평균 가구소득이 527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8% 증가했다고 밝혔다. 소득 항목별로 근로소득은 322만 원으로 5.3%, 사업소득은 94만2000원으로 4.6% 각각 감소했다. 재산소득도 3만4000원으로 11.7% 줄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이 모두 감소한 건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그나마 공적이전소득이 77만7000원으로 127.9% 급증하면서 나머지 소득 감소분을 메웠다. 공적이전소득 증가분은 대부분 사회수혜금 증가분이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사회수혜금 전부가 재난지원금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대부분을 차지한다”며 “(공적이전소득 중 사회수혜금 비중이) 1분기에는 28.8%였는데, 2분기에는 64.8%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소득 5분위별로는 4분위(상위 40%)의 공적이전소득 증가율은 223.7%에 달했다. 5분위(상위 20%)도 175.0%였다. 소득 분위가 높을수록 공적이전소득 증가율이 높은 건 재난지원금이 가구원 수에 비례해 지급돼서다. 평균 가구원 수는 1분위가 2.34명, 5분위는 3.52명이었다.

근로소득은 1~5분위에서 모두 감소했다. 감소율은 1분위(하위 20%)가 18.0%에 달했지만, 감소액은 5분위가 29만 원으로 가장 컸다. 사업소득은 2분위에서 유일하게 11.0% 늘었지만, 근로소득 감소(-12.8%)를 메우기엔 역부족이었다. 이조차 기존 2분위의 사업소득 증가보단, 상위 분위에서 사업소득이 감소한 가구가 2분위로 유입된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1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7% 늘었다. 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에 못 미치면서 평균 소비성향은 67.7%로 2.5%포인트(P) 하락했다.

항목별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정식 증가로 식료품·비주류음료는 45만4000원으로 20.1% 늘었지만, 음식·숙박은 38만8000원으로 5.0% 감소했다. 또 마스크, 가구 등 구입 증가로 보건은 25만3000원으로 7.5%, 가정용품·가사서비스는 18만 원으로 21.4% 각각 늘었지만, 외부활동 위축으로 의류·신발은 16만9000원으로 5.8%, 오락·문화는 17만4000원으로 21.0% 각각 줄었다. 교육은 무상교육 확대 등 정책효과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학원 휴원이 맞물리면서 16만8000원으로 29.4% 급감했다.

비소비지출은 97만1000원으로 2.3% 감소했다. 부가가치세 등 납기연기와 소득 감소로 경상조세는 17만9000원으로 5.5%, 연금기여금은 15만3000원으로 4.4% 줄었지만, 비경상조세가 4만3000원으로 153.2% 급증했다. 주택·차량 구입 증가로 취득세 납부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소득에서 지출을 뺀 가계수지는 1분위를 제외한 전 분위에서 흑자를 기록했다. 1분위의 경우 1만1000원 적자를 기록했으나, 저년 동기와 비교해선 수지가 91.8% 개선됐다.

한편, 양극화 정도를 보여주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23배로 전년 동기(4.58배)보다 0.35배 개선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총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금액을 가구원 수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다만 5분위 배율 개선을 실질적인 양극화 완화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전반적으로 근로·사업소득이 줄었고, 재난지원금이라는 일시적 효과가 반영돼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