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부총리는 이날 "과열 양상을 보이던 서울·수도권의 매수심리가 8월 들어 관망세로 돌아서며 진정되는 분위기"라며 "매매 심리지수가 매수우위에서 균형치인 100으로 근접했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상으로도 최근 일반 국민과 시장 참여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가 점차 둔화하고 있다"고 정부 부동산 정책을 자평했다.
그는 "최근 실거래 통계 확인 결과 가격 상승 사례도 있으나, 상당 지역에서 가격이 하락한 거래도 나타나는 등 시장에서 쏠림현상이 많이 완화됐다"고도 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런 홍 부총리 발언을 뒷받침하기 위해 서울 시내 몇몇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 추이를 담은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기재부가 인용한 단지는 서초구 '반포 자이',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마포구 아현동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 3단지', 노원구 상계동 '불암 현대아파트' 등이다.
기재부는 7월 28억5000만 원에 거래되던 반포 자이 전용면적 84㎡형 매매가격이 지난달 24억4000만 원으로 떨어진 것을 집값 하락 사례도 들었다. 다만 인근 공인중개사들은 지난달 거래 사례는 특수한 거래여서 시장 상황을 대변할 수 없다고 한다. 법인이 급히 아파트를 처분하느라 가격을 낮춘 물건이어서다. 현재 반포 자이에선 27억 원 밑으론 전용 84㎡형을 구할 수 없고 고층부는 32억 원까지 값을 부른다.
기재부는 전용 59㎡형 실거래가가 7월 14억 원에서 지난달 11억 원까지 떨어졌다고 한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 실상도 비슷하다. 지난달 7일 이 아파트 59㎡형이 11억 원에 거래된 건 맞지만 사흘 후인 9일엔 최고가인 14억5000만 원에 팔렸다. 기재부가 8억9500만 원까지 값이 떨어졌다고 한 리센츠 27㎡형 역시 같은 날 10억7000만 원에도 거래가 체결돼 대표 시세로 보기는 힘들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소수 표본만 가지고 정책 효과를 띄우려 한다고 비판한다. 정부 규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예년보다 부동산 거래가 위축한 데다 잠실 등 강남 일부 지역에선 토지거래허가제까지 시행되는 상황이어서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교수)는 "아직 정책 효과를 말하기엔 표본이 너무 적다. 팔 수도 살 수도 없는 거래 절벽 상황이다 보니 일부 거래가 튀는 것"이라며 "정책 효과를 보려면 적어도 6개월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