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원격 수업’ 언제까지 시행착오 타령만 할 것인가

입력 2020-09-25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손현경 사회경제부 기자

정세균 국무총리는 최근 “경험에 따라서는 미래 교육이 몇 년 앞당겨졌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했다. 혹자는 앞으로 비대면 수업이 대세라고도 한다. 과연 그럴까.

2월 23일, 교육부가 1차 등교를 연기한 이후 정상 등교수업이 이뤄지지 않은 채 7개월이 흘렀다. 원격 수업 병행이라는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이 펼쳐졌고,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학생들은 '등교'와 '집콕'을 반복하고 있다. 5월 들어 등교수업을 재개했지만 지난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수도권 모든 학교가 11일까지 등교를 중단했다. 재확산 추세가 꺾이자 21일 수도권 지역 7000여 개 학교가 다시 등교수업을 재개했다.

학생들은 이러한 ‘퐁당퐁당’ 등교에 갈수록 심각해지는 학습 공백과 교육 격차를 마주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의 설문 결과 교사와 학부모 10명 중 8명은 ‘온라인수업 이후 학생 간 학력 격차가 커졌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교육부도 이러한 현실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교육부는 최근 쌍방향 수업을 확대하라고 일선 학교에 주문했다. 실시간 쌍방향 조종례도 진행하라 권고했다. 원격 수업의 질을 끌어올려 학습 격차를 해소하고 ‘소통’을 강화해 돌봄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이러한 방침은 오히려 교육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 학교별은 물론 학교 내에서도 쌍방향 원격 수업을 운영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교사 개인 능력, 인프라 부족 등이 원인인데 이를 해결할 생각은 하지 않고 무작정 쌍방향 수업을 늘리라고 하면 역효과가 날 수밖에 없다.

학부모들이 사교육에 더 의지할 개연성도 높다. 교육계 관계자는 "1학기와 다를 바 없는 2학기 원격 수업 질에 대해 학부모들의 불만이 많다“며 ”‘유튜브 자율학습’에 머무른 실정을 놓고 공교육의 근본적 역할에 대한 원성이 자자하다“고 말했다.

‘수업을 듣는 것’이 교육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비대면’ 이지만 흥미 있는 교육 과정 시스템 등을 통해 아이들이 최고의 학습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육 당국의 역할이다.

코로나19 종식은 멀었다. 앞으로 더 긴 시간 우리 아이들이 원격 수업에 의존하게 된다. 언제까지 '시행착오'라며 이해를 구할 것인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